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생각하고 방치했다가 ‘수술 불가피’
평소 걸을 때마다 허리가 아픈 주부 K(42)씨는 얼마 전부터 가만히 있어도 다리가 저리는 현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지경에 이르렀다. 척추디스크를 의심하고 병원을 찾은 결과 '척추전방전위증'을 진단 받았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추체(척추뼈 몸통)가 바로 아래의 추체에 비해 전방으로 전위된 것, 즉 척추 뼈가 배 쪽으로 미끄러져 나가는 질환이다. 대표적인 증상으로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이 발생하는데, 걷거나 서 있기 힘든 경우도 있고 지속적으로 통증이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척추관협착증의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노화로 인해 인대나 뼈 등이 두꺼워짐으로써 척추관이 좁아지고, 이로 인해 신경이 눌려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그렇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은 왜 생기는 것일까?
경기 오산 척추관절 버팀병원 측에 의하면 척추전방전위증은 노화 혹은 좋지 않은 자세에의한 퇴행성이나 외상성인 경우가 많다. 선천성이나 척추분리증과 동반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초기 발견 시 '신경차단술'이나 '풍선확장술' 등과 같은 비수술적인 치료만으로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자극 받고 있는 척추 신경 부위에 특수한 카테터(혈관에 삽입하는 튜브 모양의 기구)를 삽입해 염증에 의한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약물이나 국소마취제를 주입함으로써 증상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통증을 전달하는 통각신경을 차단하고 아픈 부분의 국소순환을 개선시키며, 통증의 악순환을 일으키는 통증 반사로를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급 만성의 다양한 척추질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풍선확장술은 신경 통증 부위에 특수 카테터를 통해 풍선을 부풀려 넣음으로써 전방으로 전위된 척추 뼈를 제자리로 돌려놓는 방법이다. 요통과 하지 방사통의 원인이 되는 협착으로 인한 환경적 자극과, 자극에 의한 염증 반응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어 척추질환 치료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전방전위증은 조기 치료가 가능한 시점을 넘어 증상이 중해지면 수술요법만이 호전을 보이기 때문에 반드시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박정욱 버팀병원 원장은 "척추 전방전위증 환자들 중에는 단순한 허리 통증으로 생각하고 방치했다가 수술에 이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조기에 진단만 잘 받으면 비수술적 치료방법인 신경차단술이나 풍선확장술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결과를 볼 수 있으므로 평소 허리 통증이 있다면 경중에 상관없이 방치하지 말고 미리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