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계위 회부 2건…2011년 카타르대회서 수상
한국 축구대표팀이 2연속 페어플레이상을 수상할 수 있을까?
2015 호주아시안컵 조별리그 24경기가 모두 끝난 가운데 대회는 종반으로 치닫고 있다. 남은 경기는 이제 8강전 4경기, 4강전 2경기, 결승전 1경기, 3·4위전 1경기를 포함해 총 8경기뿐이다.
토너먼트에 접어들면서 어느 나라가 우승을 차지할지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우수선수(MVP), 득점왕 등 개인 타이틀의 주인공도 못지않은 관심 대상이다.
하지만 이 외에도 의미있는 수상 분야가 있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이 1984년 처음 제정한 페어플레이 상이 바로 그것이다.
대회 기간 내내 각 팀들의 경고·퇴장·파울 수 등을 바탕으로 가장 정정당당한 플레이를 펼친 팀에 수여한다.
한국은 지난 2011년 카타르 대회 때 이 상을 처음 받았다. 그동안 사우디아라비아 3회(1988·1992·2000), 중국 2회(1984·2004), 이란(1996), 일본(2007) 등이 한 차례씩 수상했다. 페어플레이의 또 다른 척도는 대회 기간 중 징계위원회의 회부 여부가 될 수 있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징계위원회에 회부된 사건은 총 31건으로 6만9500 달러(약 7500만원)의 제재금이 부과됐다. 엄격하게 제한돼 있는 그라운드 난입이나 심판 판정에 대한 항의, 심한 반칙 등이 주요 안건이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은 제재금을 받은 나라가 이란이다. 카를로스 케이로스(62·모잠비크) 이란 감독은 바레인전이 끝난 뒤 욕설과 함께 공격적인 행위를 했다는 이유로 3000 달러의 벌금을 물었다.
이란은 그 밖에도 선수 리스트를 늦게 제출했다는 이유와 승인되지 않은 유니폼을 착용하는 바람에 5000 달러의 벌금을 받기도 했다. 그 다음으로 징계위에 많이 회부된 나라는 개최국 호주다. 호주축구협회는 자국 응원단의 그라운드 난입을 막지 못해 세 차례 징계위에 올랐다. 3000 달러씩 두 번 6000 달러의 벌금을 물기도 했다. 한국이 징계위원회에 회부된 것은 두 건이다.
김민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