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1인당 주거면적 33.1㎡…주거수준·환경만족도 상승..
경제

1인당 주거면적 33.1㎡…주거수준·환경만족도 상승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1/22 17:15 수정 2015.01.22 17:15
국토부, 2014년 주거실태조사 주요지표 발표


 
지난해 기준 국민 1인당 주거면적은 33.1㎡로, 2012년 31.7㎡보다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2일 올 3월 발표 예정인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 주요지표를 발표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1인당 주거면적은 2012년도 31.7㎡에서 지난해에는 1.4㎡ 증가한 33.1㎡로 나타나 주거의 양적수준이 향상됐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2012년에 전체가구의 7.2%(128만 가구)에서 지난해에는 5.4%(100만 가구)로 감소했다.
자가보유율은 2012년 58.4%에서 2014년 58.0%로, 자가점유율은 같은 기간 53.8%에서 53.6%로 모두 소폭 하락했다.
소득계층별로는 자가보유율이 고소득층에서 증가(72.8→77.7%)한 반면 저소득층(52.9→50.0%) 및 중소득층(56.8→56.4%)은 감소했다.
전체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는 2012년 50.5%에서 2014년 55.0%로 증가한 반면, 전세가구는 같은 기간 49.5%에서 45.0%로 줄었다.
아울러 평균거주기간은 자가가구는 11.2년, 임차가구는 3.7년으로 2012년에 비해 거주기간이 줄었으며, 최근 2년내 이사가구 비율은 36.6%로 2012년(32.2%)에 비해 증가했다.
주택보유 의식도 감소했다. 국민의 79.1%는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이는 지난 2010년 83.7%에 비해 4.6%p 감소한 수치다.
특히 가구주의 연령이 34세 이하인 경우 타 연령층에 비해 내 집을 꼭 마련하겠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20144년 현재 70.9%로 가장 낮았다.
반면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86점(4점 만점)으로 2012년에 비해 소폭 높아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서민 및 중산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며 "주거비 부담이 높은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올해 주거급여 확대시행, 공공임대주택 12만가구 입주 등을 추진하고, 주택구입 희망 계층에는 내 집 마련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택구입 의사와 능력이 없는 계층에 대해서는 "기업형 임대주택 공급을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주거실태조사는 국민들의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2006년부터 격년 단위로 실시해 오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2014년 7~9월까지 전국의 2만 가구를 대상으로 1:1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