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형 금융상품 활용...금-유가 관련상품은 피해야-
저금리 기조가 굳어짐에 따라 재테크 전략은 '절세'와 '해외투자'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25일 뉴시스가 국민·우리·신한·SC 등 시중은행 프라이빗뱅커(PB)들을 대상으로 그룹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이들은 '절세'와 '해외투자'를 중심으로 재테크 전략을 짜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기예금 금리가 1%대로 떨어졌기 때문에 절세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졌다. 절세 여부에 따라 세후 수익률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연말정산 과정에서 세(稅)테크의 중요성이 입증된 만큼 세제혜택을 주는 상품을 잘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국내보다는 해외자산 시장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는 조언도 많았다. PB들은 부양책으로 선진국 증시의 상승세가 기대되는 만큼 해외 채권·펀드 투자가 유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재테크는 '세(稅)테크'부터= 연말정산 과정에서 ‘세금폭탄’을 맞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자 절세상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적립식 퇴직연금(IRP), 주택종합청약저축, 소득공제 장기펀드 등이 대표적인 절세 상품으로 꼽힌다.
고승희 우리은행 투체어스 강남센터 PB팀장은 "연초부터 연말정산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절세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가 많아졌다"며 "특히 최근에는 세제 혜택이 있는 상품의 범위가 많이 줄었지만, 이들 상품은 세제 혜택 범위가 늘어나 추천을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IRP는 직장인의 노후 자금 준비를 위해 마련된 상품이다. 퇴직연금에 가입한 근로자라면, 본인 명의의 개인형 퇴직연금 신탁계좌를 추가로 개설해 이용하면 된다.
특히 지난해까지는 세액공제가 400만원까지 밖에 적용되지 않았지만, 올해부터는 한도가 700만원으로 늘어났다.
전문가들은 IRP를 단순히 퇴직금 목적만이 아니라 세테크 차원에서 미리 가입해야 한다고 권유하고 있다.
신동일 국민은행 대치동 PB센터 팀장은 "연금저축 400만원에 적립형 IRP를 300만원까지 가입하면 92만4000원까지 절세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연소득 7000만원 이하 직장인은 주택청약종합저축도 고려해볼 만하다.
작년까지는 소득공제 혜택이 120만원이었지만 올해부터는 240만원으로 확대됐다.
◇'고수익' 원하면 해외로 눈 돌려라= 최근 단기 사채는 발행되자 마자 불과 몇 시간만에 다 팔려나간다. 정기예금 금리가 1%대에 불과한 반면 단기사채 금리는 3%대 초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단기 사채 물량은 그리 많지 않다.
전문가들은 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리고 싶다면, 국내보다는 해외시장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특히, 유럽중앙은행(ECB)의 양적완화 조치로 유럽 하이일드 채권과 회사채가 유망 상품으로 꼽혔다.
통화완화 기조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ECB의 자산매입 대상에 회사채도 포함됐기때문이다.
유상훈 신한은행 PWM강남대로센터 팀장은 "미국 증시가 양적완화 정책을 집행한 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유럽증시도 양적 완화 확대에 힘입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정기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글로벌 배당 인컴펀드를 추천한다.
인컴펀드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고금리 해외채권이나 배당주, 부동산투자신탁 등에 골고루 투자해 매매차익과 이자, 배당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글로벌배당인컴펀드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시장의 고배당주에 투자해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는 상품이다.
이상민 SC은행 이사는 "이미 싱가포르나 홍콩 시장의 인컴펀드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며 "일정한 현금흐름이 지속되기 때문에 위험을 꺼리는 고객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말했다.
◇금·유가 상품은 위험도 따져봐야= 최근 국제 유가 하락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맞물리면서 금·유가 관련 상품도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이나 유가관련 파생상품 투자는 일반 투자자가 뛰어들기에는 다소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국제 정치적인 요소가 많이 개입되다보니 변동성도 크고, 가격을 예측하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이상민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 투자자문부 이사는 "유가관련 상품에 대한 문의는 많이 오지만 개인 고객들에게는 추천하지 않는 편"이라며 "감수해야 할 위험이 높은 반면 얻는 수익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