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부산銀‘1위’... 경영효율도 높아
은행 혁신성평가 결과 일반은행에서는 신한은행이, 지방은행에서는 부산은행이 1위를 차지했다.
혁신성이 높은 은행일수록 '총이익 대비 인건비 비중'이 낮아 경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28일 '제1차 금융혁신위원회'를 열고 2014년 하반기 은행 혁신성평과 결과 등을 논의했다.
혁신성평가는 ▲기술금융 확산(TECH) 40점 ▲보수적 금융관행 개선 50점 ▲사회적 책임이행 10점 등으로 구성됐다. 금융위는 외국은행 지점을 제외한 모든 은행을 대상으로 일반·지방·특수 등 3개 리그로 구분해 평가했다.
종합평가 결과 일반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이 100점 만점에 82.6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우리은행(76.80점)·하나은행(72.70점)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국민은행(59.40점)·SC은행(49.20점)·씨티은행(44.50점) 등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지방은행중에서는 부산은행(79.20점)·대구은행(76.70점)이 높은 평가를 받은 반면 수협(52점)·제주은행(45점)은 하위권으로 평가됐다.
평가지표 별로 살펴보면 '기술금융 확산(TECH)' 항목의 경우 일반은행에서는 신한(1위)·우리(2위)은행이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지방은행에서는 부산은행이 공급규모, 기업지원, 신용지원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보수적 금융관행 개선' 항목에서는 신한은행이 관행혁신, 하나은행이 투융자 복합금융, 우리은행이 신성장동력 창추출 평가 분야에서 각각 상위권을 차지했다.
▲서민금융 ▲일자리창출 ▲사회공헌 등을 평가한 '사회적 책임 이행' 항목에서는 농협(2위)·외환(3위)·제주은행(3위)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외환은행은 서민금융상품의 취급 실적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한편 혁신성평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은행은 '총이익 대비 인건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경영효율성이 높다는 뜻이다. 혁신성 종합평가에서 3위를 차지한 하나은행의 경우 총이익 대비 인건비 비중이 31.3로 1위를 차지했다. 신한은행(35.7)과 우리은행(76.80)이 하나은행에 이어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금융위는 국책은행을 제외한 일반·지방은행 리그를 대상으로 신·기보 출연료는 TECH(40점)에, 온렌딩은 'TECH + 관계형여신 + 투융자'(57점) 평가결과에 연계해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다.
금융위 김용범 금융정책국장은 "혁신성이 높은 은행은 인건비 대비 수익창출 능력도 높다는 해석이 가능하다"며 "인센티브 받게 되면 1위를 한 은행은 70억원 정도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2015년은 한국금융의 미래 30년을 좌우할 중대한 기로라는 비장한 각오를 갖고 금융개혁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제2단계 금융규제개혁'도 금융이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