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8일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내려앉은 것과 관련, "예견된 결과"라며 경제정책 기조전환 등 국정쇄신을 촉구했다.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급락, 이 모든 것의 근본원인은 한 가지이다. 바로 재벌감세 서민증세"라며 "이 정책기조를 바꾸지 않은 채 이젠 지방에까지 부담을 주게 되면 국민 분노와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걷잡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정애 대변인은 "국민은 비선실세 국정농단 파문에도 누구 하나 책임지지 않고 오히려 더 굳건해진 김기춘 비서실장, 그리고 '권한 강화'라는 금칠을 한 문고리 3인방, 서민증세에만 골몰하는 현 정부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 대변인은 "비선실세 문고리권력 등 인사문제의 핵심인 김기춘 비서실장과 문고리 3인방을 즉각 경질하라"며 "서민증세, 부자감세 기조 등 조세정책 전면 수정과 함께 가계소득 주도 성장정책 등 경제정책의 전면적인 전환을 통해서 새로운 국정운영 동력을 확보하라"고 촉구했다.
서영교 원내대변인은 "이미 예견된 결과다. 정윤회 비선실세 논란에 이어 최근 '연말정산 세금폭탄'과 불통 인사까지, 박근혜 대통령의 '나홀로 정치'에 국민들이 등을 돌린 것"이라며 "박 대통령의 전통적인 지지층이라고 할 수 있는 50~60대 지지율이 빠르게 하락하고 있는 것 역시 이를 증명한다"고 꼬집었다.
서 원내대변인은 "정윤회 게이트가 불거지자 지지율 40%가 붕괴됐고, 김기춘 비서실장과 문고리 3인방 유임과 김무성 대표의 수첩파동이 겹치면서 35% 지지율이 무너졌다"며 "서민증세로 심란한 국민들에게 '꼼수증세' 가중시키며 심리적 마지노선이라고 불리는 30%가 무너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국정쇄신을 바라는 국민의 요구에 눈감고 귀 막았던 결과다. 그래서 국민이 아프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