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세금감경 등 지원 확대
2020년까지 100만대 보급목표
정부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중·소형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을 대상으로 구매 보조금 지급 등 혜택을 대폭 강화했다.
4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온실가스를 97g/㎞ 이하로 배출하는 중·소형 '하이브리드차'를 구입하면 보조금 100만원이 지원되고 있다.
또 자동차 신규 등록시 납부하는 개별소비세와 취·등록세 등 최대 310만원의 세금 감경 혜택을 제공 중이다.
현재 하이브리드차 보조금 지원대상은 소나타 2.0, 프리우스 1.8, 프리우스(Prius) 1.8Ⅴ, 휴전(Fusion) 2.0, 렉서스(Lexus) 2.0 등 총 5종이다.
동급 내연차량과 비교할 경우 2배 이상 비싼 전기차는 혜택이 더 크다.
전기차 1대당 정부의 정액 보조금 1500만원, 지자체 보조금 300~700만원과 최대 420만원의 세금감경, 개인 충전시설 설치비 600만원 등의 지원이 이달 안으로 개시될 예정이다.
전기차는 연간 1만5000㎞를 주행할 경우 동급 휘발유 차량에 비해 운행 비용이 약 30%대에 불과해, 연료비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보급중인 전기 승용차는 레이(RAY), SM3, 스파크(SPARK), i3, 쏘울(SOUL), 리프(LEAF) 등 총 6종으로 정부는 올해 30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보급 차종을 전기택시(140대), 전기버스(60대), 전기화물차(30대)까지 범위를 넓혀 전기차 시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전기차 보급을 억제한 충전 불편을 줄이기 위해 올해 공공급속충전시설 100기(누적 337기)를 더 설치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서울에서 부산까지 운행이 가능해진다.
차세대 친환경차인 수소연료전지차도 올 해중으로 72대를 공공기관에 보급하는 지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수소차는 전기차와 함께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자동차로 꼽힌다.
그간 수소차는 비싼 가격이 큰 걸림돌이었으나 최근 차량가격이 2014년에 1억5000만원에서 올해 8500만원으로 떨어졌다.
정부는 수소차를 구입하는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동급 내연기관차와의 가격차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수소차를 보급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수소차 가격이 추가로 인하되고 수소연료 충전인프라가 확충되면 향후 3~4년 뒤에는 민간부분에도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밖에 도심 대기질 개선을 위해 2000년부터 시작한 천연가스차(CNG차)의 보급사업도 지속된다.
올해는 서울을 비롯한 6대 광역시에 CNG버스보다 환경성과 연비가 약 30% 향상된 CNG하이브리드버스 300대를 보급하고, 중·소도시에는 CNG차 925대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친환경차 3만4417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0년까지는 친환경차 100만대를 보급해 연간 친환경차 신차 판매비율을 현행 2~3% 수준에서 약 15%까지 끌어 올릴 계획이다.
친환경차 100만대(전기차 20만대, 하이브리드차 80만대)가 보급되면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102만t, 석유소비량 연간 4억3790만ℓ를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합치면 총 7087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