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골프산업 언급에 즉각 반응
정부가 골프 활성화를 위해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문화관광체육부는 관계자는 4일 "골프 관련 세제 혜택이 포함된 골프 활성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현재까지는 정해진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골프가 스포츠산업 부분에서 상당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산업쪽으로 키울 수 있는 방안을 고민중"이라고 하였다.
또 "산업적인 측면에서 골프의 수요를 진작시키고 대중화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세제혜택과 관련된 부분은 하게 되더라도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다룰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가 검토중인 골프 활성화 방안에는 골프와 관련된 세율 인하 여부가 포함됐다. 현재 골프와 관련해서는 라운딩에는 1인당 개별소비세 2만1120원(회원제)이 부과되고 있다.
실제 회원제로 운영하는 골프장에 대한 세율은 다른 업종에 비해 많게는 20배나 높게 매겨져 있다. 토지에 대한 재산세의 경우 대중 골프장이 0.2%~04%인데 회원제 골프장은 4%이다.
또 주로 사행성 업종에 부과되는 개별소비세를 보면 회원제 골프장에는 1만2000원의 본세에 교육세와 농어촌특별세가 각각 3000원씩 붙고, 부과세를 합쳐 2만1120원이 부과되고 있다.
다른 사행업종인 경마장에는 개별소비세가 1000원, 내국인 카지노에는 6300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편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골프 업계에서는 그동안 관련 세율 인하와 세제 혜택을 숙원사업으로 여겨왔다.
문체부는 회원제 골프장의 재산세와 개별소비세 등을 낮출 경우 4만~5만원 정도의 그린피 가격인하 여력이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문체부는 이번 주까지 골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뒤 관계부처 장관들을 상대로 보고하고 부처간의 조율을 거쳐 다음주께까지 최종 방침을 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같은 움직임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3일 이례적으로 먼저 골프산업 침체에 대해 언급하면서 "골프 활성화에 대해서도 방안을 만들어 줬으면 좋겠다"고 말한데 따른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 앞서 10분 가량 국무위원들과 티타임을 가진 자리에서 올해 10월 인천 송도에서 열리는 프레지던츠컵을 예로 들면서 "골프대회 중에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골프대회이고 아시아에서는 한국에서 처음 열리는데 (제가)거기 또 명예회장으로 있다"고 하였다.
또 "그러다보니 우리나라에 그런 큰 대회도 열리는데 '골프가 침체돼 있다, 활성화를 위해서 좀 더 힘을 써 달라'는 건의를 여러 번 받았다"고 언급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