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중앙통합방위회의 주재…전방위 안보 당부
박근혜 대통령은 5일 제48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열어 국내외 안보환경과 정세, 북한의 도발위협 등 안보상황을 점검하고 올해의 통합방위태세 추진방향을 논의한다.
박 대통령 주재로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리는 회의에는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국정원·군·검찰·경찰 관계관 및 각 광역시·도지사 등 230여명이 참석한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2월 47차 회의에 이어 2년 연속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한다. 역대 대통령들의 경우 1988년까지 매년 대통령이 주재해 오다가 이후부터는 재임 기간 동안 2~3회만 회의를 주재하고 나머지 회의는 의장인 총리에게 맡겼다.
박 대통령이 회의를 연이어 주재하는 것은 현재의 엄중한 안보상황을 감안해 국민들의 높은 안보의식을 바탕으로 민·관·군·경이 하나된 총력안보태세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청와대는 전했다.
중앙통합방위회의는 적 침투, 도발, 위협 등에 있어 지휘체계를 일원화해 국가를 방위하기 위한 것이다. 1968년 무장공비 침투 대비책을 마련하기 위한 치안 관계관 회의 성격으로 처음 열렸다.
1968년 1·21 사태 이후 1969년부터 매년 1월21일을 전후해 열렸으며 2010년부터는 명칭이 통합방위중앙회의에서 중앙통합방위회의로 변경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재 안보상황에 대한 평가와 지난해 전방위 총력안보태세 구현을 위해 역점을 두고 추진한 과제들에 대한 진단, 올해의 통합방위태세 추진방향에 대한 논의 등이 있을 예정이다.
특히 새로운 안보위협과 작전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방위체계 재정립 방안’을 발표하고 토의한다.
박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민·관·군·경이 하나가 돼 통합방위태세를 한 단계 격상시키고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전방위 총력안보태세 확립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통합방위 유공단체인 충북도청, 육군 제32보병사단 및 36보병사단, 경남 지방경찰청, 한국석유공사 서산지사 등과 사이버 안보에 대한 공적이 있는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남부발전 ICT지원팀장을 대상으로 대통령표창이 수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