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10명 중 3명꼴...공적연금 통해 45% 충족
한 노인의 쓸쓸한 발걸음
국민연금이 성숙해지는 2050년에도 10명 중 3명 이상은 노후소득이 은퇴 후 최적소비를 위해 필요한 소득보다는 적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초저출산·초고령화가 진행되는 2020년부터 2050년까지 평생소득가설을 바탕으로 65세까지 축적된 공적연금 및 자산이 은퇴 후 필요한 소득수준을 충당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다.
5일 보고서에 따르면 공적연금과 자산 등 노후소득이 생애소비수준을 충족하는 비율은 2020년 49.8%~76.3%에서 2050년 88.7%~166.7%로 늘었다. 자산은 소득으로 전환했으며 전환율은 25%에서 최대 100%까지 책정했다.
하지만 생애효용에 미달하는 가구(생애소비수준이하의 가구)비율은 소득전환율에 따라 2020년 96.4%~80.2%에서 2050년 68.0%~33.1%로 여전히 높았다. 자산을 소득으로 100% 전환해 부족한 노후소득을 보충해도 30% 이상은 생애효용수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하면 자산충족률은 전환율에 따라 2020년 93.5%~147.6%에서 2050년 168.5%~ 317.3%의 분포를 보였다. 다행히 노후소득이 최저생계비를 상당히 초과하는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저생계비에 미달하는 가구의 비율은 전환율에 따라 2020년 60.8%~17.1%에서 2050년 10.0%~0.2%로 점차적으로 크게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공적연금만 보면 생애소비를 유지하는 충족률은 2020~2045년 기간에 25%에서 45%로 높아진 후 그 수준을 유지했다.
평균적인 연금급여 및 소비수준을 보이는 가구도 공적연금을 통해서는 은퇴 후 필요소득의 45% 정도만 충족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최저생계비 수준을 기준으로 한 공적연금충족률은 2020~2045년 기간에 60% 초반 수준에서 100% 수준으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