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위,표준운송원가·노선조정안 집중 검토
대구시는 지난 5일 본관 상황실과 영상회의실에서 「준공영제 개혁시민위원회」 분과별 위원회를 개최하고, 표준운송원가 산정의 문제점, 노선변경(안) 세부노선 설명 자료에 대하여 집중토론을 거쳐 준공영제 운영 문제에 대한 원인분석 작업에 돌입했다.
이날 제도개선분과위(위원장 안경준)는 공영제와 민영화, 그리고 민?공영 혼합형의 장?단점 등 버스운영체계에 대한 전반적 사항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대구시에 적합한 운영체계에 대하여 집중 토론했다.
또한, 재정지출의 기준이 되는 표준운송원가 산정방식에 대해서도 표준운송원가 중 인건비와 연료비를 실비 지급함으로써 버스업체가 경영개선에 무관심을 초래하는 점과 인건비와 연료비를 제외한 운송원가 항목에 대해 평균 지급함에 따라 비용 산정의 적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점에 대해서도 지적하고 지급방법 개선안에 대하여 격론을 벌이고 버스업계의 경쟁체계 도입 등 경영개선 노력을 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하여 토론을 이어 나가기로 하였다. *표준운송원가: 시내버스 1대당 1일 운행비용을 표준으로 산정한 것.
노선통합조정분과(위원장 정영애)는 버스노선 변경(안)의 용역사항에 대하여 세부 추진 방향 및 설명을 받고 신개발지역에 대한 버스수요, 도시철도 연결노선, 폐지?단축노선, 장대노선 조절 등을 감안한 이용자인 시민편의 위주의 노선체계 확립에 우선을 두는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대구시는 이번 위원회에서 도출한 방향을 토대로 3월까지는 매주 분과별 세분화된 분석 작업을 거쳐 구체적인 개편안을 마련하고 상반기 중에는 준공영제개혁시민위원회의 최종 합의를 도출할 계획이다.
대구시 배기철 준공영제혁신추진단장은 “이번 준공영제 개혁이 시민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하는 근본적인 개선이 되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김영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