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러시아 대사도 외교부 간부로 교체예정
지난해 세월호 침몰사고 후 이른바 '컨트롤타워 논란' 속에 경질됐던 김장수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5일 신임 중국 주재 대사로 내정됐다.
김 전 실장은 최근 교체 사실이 알려진 권영세 현 주중 대사의 후임으로 내정돼 앞으로 중국정부의 아그레망 부여, 박근혜 대통령에 의한 최종 임명 등 절차를 앞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실장 내정 과정에선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국방부장관을 지내며 쌓은 안보외교분야 전문성, 박근혜정부 국정철학의 이해도가 높다는 점, 중국인사들과의 접촉을 감안해 중량급 인사를 파견해야 한다는 점 등이 고려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군 출신이면서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청와대 실장 자격으로 내각의 일원으로 일했다는 점, 국가안보실장 시절 외교업무를 하면서 국방과 외교 분야에서 역량을 겸비하게 된 점도 발탁 배경으로 전해졌다.
김 전 실장은 그간 대표적인 매파로서 박 대통령의 곁에서 대북문제에 관해 줄곧 강경한 목소리를 내온 만큼 일련의 절차를 거쳐 중국대사관 부임이 확정되면 기존 대북정책 기조에 근거해 우리정부의 입장을 중국측에 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김 전 실장은 세월호 사고의 후폭풍이 거세던 지난해 5월22일 사표를 제출했고 박 대통령은 이를 수리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안보분야의 실세로 불리면서 줄곧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의 신뢰를 받아왔던 그는 세월호 참사 이후 "청와대 국가안보실이 '재난의 컨트롤타워'는 아니다"라고 해명한 뒤 책임회피 논란에 휘말렸다.
한편 주러시아 대사도 교체될 예정이다. 2011년 11월부터 활동해온 위성락 대사가 귀국하고 대신 외교부 간부가 이 자리를 맡을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