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동네문구 "적합업종 지정? 실효성도 없는데&qu..
경제

동네문구 "적합업종 지정? 실효성도 없는데" 냉소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2/24 18:29 수정 2015.02.24 18:29

 

동네문구점 고사 논란 속에서 '문구소매업'이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규 지정됐지만 실효성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24일 동반위에 따르면 대형마트는 지난해 문구품목 매출액 기준으로 사업을 축소하고 매장규모 축소, 새학기 문구 할인행사 자제, 묶음단위 판매 등을 자율적으로 시행토록 했다.
자율규제인데다가 매장 면적, 판매 자제 품목, 묶음판매 수량 등 구체적인 기준이 전혀 나오지 않아 '반쪽짜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소상공인들의 주장이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 가진 전화통화에서 "대형마트들이 자율적으로 사업을 축소하는 수준의 개념인 것으로 안다"며 "매대를 줄이고, 신학기 마케팅을 자율적으로 자제하는 정도가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동반성장위 협상에 동네문구점 대표로 참여했던 학용문구협동조합 측의 반응은 더욱 냉소적이다.
학용문구협동조합측 이성원 전국문구점살리기연합회 사무국장은 "문구소매업 적합업종 지정으로 중소형 문구점이 실익을 볼 것이라는 관측은 오버에 가깝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도 합의한 적 없고, 대형마트도 합의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아는데 동반위가 중재안을 내고는 지정했다고 발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동반위가 도대체 무슨 목적으로 이러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아무런 실효성이 없는 내용"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동반성장위가 대형마트와 동네문구점 대표간에 제대로 합의되지도 않은 내용을 성급하게 내놨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편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99년 2만7000곳에 이르던 전국 문구용품 소매점은 2012년 기준 1만5000곳 수준으로 급속하게 줄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