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환경부 4대강 사업 전면 재평가..
사회

환경부 4대강 사업 전면 재평가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2/25 18:06 수정 2015.02.25 18:06
  '4대강 살리기 사업' 이후 심화된 녹조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댐·보·저수지에 대한 운영기준이 새롭게 마련된다고 한다. 중장기 수질변화 모니터닝 시스템이 구축되는 한편 4대강 사업으로 조성한 생태공원·하천에 대한 전면적 재평가도 추진된다.
  환경부는 4대강 사업의 수질·수생태 분야 12개 개선과제의 후속조치 세부계획을 3월부터 추진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무총리실 산하 4대강사업 조사평가위원회는 1년여간의 조사를 마친 후 지난해 12월 23일 수질·수생태 분야 12개의 개선과제를 도출해 권고했다. 12개 개선과제는 보호 및 저수지 운영기준 개선, 수심별 수질 정밀조사 실시, 수생태·육상생태 중장기 통합 모니터링, 성층현상 모의를 위한 수질모델 개선, 장기 수질변화 모니터링 및 추가 연구 등이라고 설명했다.
  환경부는 우선 녹조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댐·보·저수지 최적 운영기준'을 마련해 적정유속을 확보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와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규정을 개정할 방침이라고 한다.
  특히 녹조현상 예방을 위해 지류 수질관리도 대폭 강화한다. 올해 낙동강수계(합천창녕보·강정고령보·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지류의 오염원 현황, 저수지 관리, 본류 기여율 등의 정밀진단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2017년까지 다른 수계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총인(T-P),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등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미리 할당해 책임 관리하는 지류총량제는 낙동강수계 지류를 대상으로 올해 시범적으로 도입할 것이다.
  환경부는 또 4대강 사업으로 조성한 생태공원·하천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및 재평가도 추진한다고 했다. 국립생태원이 주관하는 이번 조사는 생태공원·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보강하기 위한 종합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4대강 사업 구간의 체계적인 생태변화 여부 분석을 위해 현재 국립환경과학원과 한국수자원공사 등 각 기관별로 추진 중인 생태조사를 통합한 '중장기적 수생태·육상생태 통합 모니터링 계획'도 올해 안에 수립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하수 관측망을 추가로 확충, 4대강 사업 구간 주변의 지하수 오염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한편 퇴적물 오염평가기준을 마련해 퇴적물 용출 모니터링 및 수질영향 평가를 진행 할 것이다.
  물고기 떼죽음의 원인이 되는 성층현상(물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에 따라 층이 생기는 현상)과 관련해선 국립환경과학원 중심으로 정밀 모니터링에 나설 것이라 했다. 16개 보 구간 수심별 정밀조사를 다음 달부터 실시해 올 상반기 중으로 3차원 수치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기상변동 영향 등을 고려한 장기 수질평가기법도 올해 말까지 개발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