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민화협, 종북단체 의심에 선긋기..
정치

민화협, 종북단체 의심에 선긋기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3/08 15:59 수정 2015.03.08 15:59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 사건이 발생한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민화협 사무실에서 민화협 장윤석(가운데) 공동상임의장이 '국민여러분께 드리는 사죄의 말씀'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성헌 상임집행위원장, 장 공동상임의장, 김영만 홍보위원장.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피습사건 당시 행사를 주최했던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가 8일 종북단체란 의혹을 일축했다.
민화협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1998년 9월 결성 당시 민화협 창립 정신과 활동방향에 동의하지 않았던 범민련, 한총련, 민주노총 등 일부 급진적인 정당과 사회운동 단체들은 참여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민화협은 "민화협은 시대의 흐름에 맞게 기존의 통일운동이 새롭게 변화해야 한다는 성찰과 인식을 바탕으로 1998년 7월6일 4개의 정당과 8개 사회단체가 모여 민간 통일운동 단체의 새로운 구심체를 결성하기 위한 논의를 시작한 것이 첫 출발"이라고 소개했다.
민화협은 "일부 언론에서 북한의 제안에 의해 본 협의회가 설립됐다고 보도한 바 있는데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민화협은 "결성 이후에도 민화협은 여러 차례에 걸쳐 북한 민족화해협의회에 남북 공동사업들을 제안했지만 북한은 호응하지 않았고 오히려 공식매체를 동원해 우리 민화협을 험하게 비난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민화협은 "이번 용납할 수 없는 테러사건과 관련해 지난 3월6일 오후 3시 긴급 의장단회의를 개최하고 명목상 회원단체로 돼있는 (김기종이 대표로 있는)'서울시민문화단체연석회의'를 정관에 의거해 제명했다"며 "향후 회원단체에 대한 관리개선 계획 등 조직 쇄신 방안을 수립해 재정비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6일 선출된 제9기 상임의장은 새누리당 출신인 홍사덕 대표상임의장을 비롯해 김금옥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김기문 전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김동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설훈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안양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 최금숙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등이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