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아닌 ‘남북 설명회’경쟁 비화
개성공단 북한노동자 임금을 둘러싼 남북당국간 갈등이 때 아닌 설명회 개최 경쟁으로 비화되고 있다.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북한당국의 일방적인 개성공단 북한노동자 임금 인상에 반발하면서 북측에 "18일 개성공단기업협회 대표단과 북한 개성공단 지도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간 면담을 열자"고 제안했다.
그러자 북한당국은 16일 오후 예고 없이 한국측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에 "17일 오전 11시에 현지 기업 법인장들을 대상으로 개성공단 노동규정에 대해서 북측 입장을 설명할 계획이니 기업들을 소집해 달라"고 요구했다.
북측의 갑작스런 제안에 정부는 수용불가 방침을 밝혔다. 정부는 북측에 "내일 18일 기업협회 소속 사장단이 북측을 방문해 전체 입주기업의 의견을 전달키로 돼있으니 그 때 북측이 책임 있는 자세로 설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수용 불가 이유를 설명했다.
정부는 그러면서 개성공단 입주기업 본사에 북측 소집 설명회에 현지법인장들을 참석시키지 말라는 지침을 내렸다.
그러면서 정부는 17일 오후 3시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2층 대회의실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북한측 임금인상에 따른 대책 설명회를 개최키로 했다. 이번 설명회는 124개 개성공단 내 생산기업과 91개 영업소, 9개 지원기관 등 220여개 기업이 참석하는 대규모 행사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 "우리정부는 북측에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명할 게 아니라 우리정부가 이미 제의한 바와 같이 당국간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 임금 문제를)협의해 해결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길 다시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개성공단 임금을 둘러싼 남북당국간 갈등이 증폭되면서 공단 가동중단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가동 중단 우려에 "북측에서 불만을 갖고 근로자들을 출근 안 시키거나 태업을 하는 게 예상은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북측이 근로자 전원을 철수시켜 막대한 차질을 가져오는 상황은 예단하고 있지 않다"고 정부의 입장을 밝혔다.
이 당국자는 "정부가 제시한 방침 이행하는 과정에서 북측의 부당한 조치로 인해서 입주기업들이 피해를 본다면 제도적 장치를 활용해 조치를 취하겠다"고 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