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포스코건설에 이어 경남기업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전격 단행하면서 박근혜 정권 첫 사정의 칼날이 이명박(MB) 전 대통령의 측근들을 정조준한 것이라는 관측이 갈수록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검찰 수사가 아직은 초기 단계지만 포스코, 자원외교, 방산비리 등에 대한 수사가 무르익을 경우 MB 측근들이 줄줄이 수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포스코 정준양·정동화, 박영준 등 친이계 유착 의혹
18일 검찰 등에 따르면 포스코와 MB 측근들간의 유착관계와 관련한 설들은 그동안 무수히 많았다. 따라서 포스코건설을 중심으로 한 검찰 수사의 핵심은 정준양 전 회장과 MB 측근들과의 유착관계를 밝혀내는 부분이다.
우선 정 전 회장은 포스코그룹 회장 취임 때부터 박영준 전 차관의 개입설이 나왔다. 특히 포스코그룹이 무리하게 계열사를 인수합병 하는 과정에서 박 전 차관 등 MB정권 실세들이 외압을 넣었다는 의혹도 이미 제기된 상태다.
지난 2012년 파이시티 인허가 로비의혹 사건이 불거졌을 당시에는 정 전 회장이 MB 측근들에게 정치자금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나오기도 했지만, 검찰은 당시 이 부분에 대한 물증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포스코건설이 해외에서 조성한 비자금의 규모와 사용처를 밝히는 게 이번 수사에서는 중요하다. 검찰 관계자는 "포스코만큼 MB정권과 유착설이 난무했던 기업도 사실 드물 것"이라며 "아직은 수사 초기 단계여서 정확하게 어떤 그림이 그려질지가 분명하지 않지만 중요한 건 수사가 시작된 이상 이 수사가 어디로 튀게 될지는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검찰이 정 전 회장과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 등을 압박할 경우 2012년 당시보다 훨씬 진일보한 수사 결과가 나올수 있다는 것이다.
◇경남기업, 이상득·김신종 등 친이계 특혜 의혹
검찰이 이날 경남기업을 압수수색한 것도 MB정권 측근들을 압박하기에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은 제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국회의원을 지내면서 대표적인 친이계로 분류됐던 인물이다. 그는 현재 경남기업의 대주주로, 충청 출신 정·관계 인사와 언론인들로 구성된 '충청포럼'의 회장을 맡기도 했다.
성 회장은 또 친이계의 '큰형님' 격인 이상득 전 의원과도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도 알려졌다. 이 전 의원은 MB정권 내내 해외 자원개발을 주도하면서 각종 잡음이 끊이질 않았다.
일각에서는 광물자원공사가 암바토비 사업에서 철수한 경남기업의 지분을 고가에 매입해 116억여원의 손실을 입은 것과 관련, 이 전 의원과 김 전 사장 등 MB실세들이 개입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또 석유공사의 러시아 캄차카 석유 광구 탐사개발 관련 컨소시엄에 경남기업이 참여해 3000억원 상당의 손실을 보는 과정에서 성 회장과 친이계 인사들이 각종 비리를 저지른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성 회장은 김신종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과 함께 MB정부 출범 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김 전 사장은 MB 최측근 인사로 꼽힌다. 이 전 대통령 해외순방을 9차례 동행하고 이 전 의원의 자원외교를 7차례 수행하는 등 MB 자원외교의 대표적 인물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