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애도 분위기에도 경제는 돌아가야..
사회

애도 분위기에도 경제는 돌아가야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5/29 21:30 수정 2014.05.29 21:30
세월호 참사가 벌어진지 40여일이 지났지만 수백 명의 어린 생명을 죽음으로 몰아넣은 대참사의 충격과 상실감은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다. 지방선거가 코앞인데도 국민들의 시선은 아직도 가족을 찾지 못한 실종자 가족들의 눈물에 머물고 있다. 애도 분위기가 온 나라에 감돌면서 국민들이‘안 사고 안 먹고 안 움직이는’자숙 자제가 확산돼 한편에선 소상공인과 골목상권이 심각한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소상공인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비스업과 숙박 및 음식업, 운수업, 도·소매업 등이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78%는 세월호 사고 한 달 전에 비해 매출이 줄었고, 감소폭은 평균 37.2%나 된다.
 한국청소년수련시설협회가 청소년수련원과 유스호스텔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는 더 심각하다. 세월호 사고 직후부터 95%의 예약 행사가 취소됐다.
청소년 수련시설의 24%는 3개월 이내, 32%는 올해 안에 각각 도산 위기가 있다고 응답했다. 국가적인 재난의 충격과 슬픔이 서민경제를 나락으로 밀어 넣고 있는 형국이다.
정부는 지난 11일 상반기 재정 집행 규모를 당초 목표보다 7조8000억 원 늘리기로 하는 등의 민생대책을 내놨다.
산업·기업은행의 정책금융도 조기집행하기로 했다. 꽁꽁 얼어붙은 경기를 되살리려는 발 빠른 대응은 잘한 일이다.
하지만 이것으로 경기가 되살아날지는 의문이다. 소상공인들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자금지원이나 세제지원보다 소비와 생산, 투자 등 경제활동이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소비심리가 살아나야 서민경제도 살아날 수 있다.
국가적 추모 분위기라고 해도 서민경제는 돌아가야 한다. 위축된 소비심리를 방치할 경우 지방경제가 마비되고 이는 국가경제 회복 지연으로 이어져 또다시 서민경제 피해를 증폭시킬 수 있는 만큼 대응책을 서둘러야 한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는 서민경제를 살리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 된다. 민생대책이 서민경제 회복대책으로 이어져야 한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