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서울 모터쇼’ 현장에 공개된 이오랩
포스코(회장 권오준)가 생산한 초고강도강과 마그네슘 판재를 적용한 르노의 ‘이오랩
(Eolab)’이 4월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막한 ‘2015년 서울모터쇼’에서 선보였다.
지난해 10월 파리국제모터쇼에서 처음 콘셉트카가 공개된 이후 국내는 물론 아시아 지역에
서는 최초다. 서울모터쇼 무대에 오를 르노의 이오랩은 콘셉트카에서 발전된 시제품(프로토
타입카)이며, 유럽연비시험기준(NEDC)에 따라 1ℓ당 100㎞를 주행하는 성능 검증을 마쳤다.
뛰어난 연비와 물방울 형상의 독특한 외관 디자인은 관람객의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무엇보다 이오랩은 복합소재 사용에 따른 차체 경량화와 공기저항을 낮춘 디자인, 혁신적인
솔루션 적용에 힘입어 뛰어난 연비를 자랑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당 22g에 불
과해 다른 친환경차에 비해 연비와 탄소배출 저감 성능이 5배 가량 높다. 배기가스 배출 없
이 60㎞까지 전기로만 주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등 자동차 산업의 환
경변화에도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는 지난해 이오랩 콘셉트카 개발 프로젝트에 트윕강(900TWIP), 프레스성형강
(2000HPF) 등 초고강도강과 마그네슘 판재 등 신강종을 적용, 차체 경량화에 기여했으며
데모카(demo car)용 부품 제작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솔루션마케팅 활동을 펼친 바 있다.
특히 약 10㎏의 차량 지붕에 포스코 마그네슘 판재를 적용하면서 이오랩의 지붕 무게는
4.5㎏ 내외로 줄어들었다. 이를 포함해 이오랩은 경량화 소재 사용으로 기존 르노의 소형차
에 비해 총 400㎏가량 무게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포스코가 이오랩 콘셉트카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미쉐린·포레시아 등 르노의 5개 파트너
사 중 유일한 철강사이자 비유럽 파트너사라는 점은 유럽 자동차 시장에서도 인정받은 포스
코의 선도적인 기술역량을 보여준다.
이오랩에 적용된 혁신기술은 이미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었다. 이오랩 마그네슘 지붕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마그네슘 판재는 뉴SM7 노바에 적용됐다. 르노는 검증된 이오랩의 혁신기
술을 점차 양산차에 적용하는 비율을 높여갈 방침이다.
포스코는 이오랩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얻은 경험을 토대로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한 신
강종 개발과 이용기술 지원 등 솔루션마케팅 활동을 적극 펼쳐 본원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