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인양 입장…조사 아닌 국민여론 감안 결정 가능성
유가족 입장 반영·국가적 교훈 되새기겠다는 의지 재확인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세월호 인양에 사실상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이는 박 대통령이 유가족들의 아픔을 적극적으로 달래고 나아가 세월호 참사를 국가적 교훈으로 되새겨 나가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세월호 1주기를 맞아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는 선체 인양문제와 관련해 여론을 적극 수용하는 등 사회통합적 차원에서 이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세월호 인양문제와 관련해 "현재 선체 인양과 관련한 기술적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중"이라며 "인양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결론이 나면 실종자 가족과 전문가들의 의견과 여론을 수렴해 선체 인양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선체 인양문제에 대한 입장을 직접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술적 요인과 여론 수렴을 조건으로 내세우기는 했지만 선체 인양에 대해 사실상 '수용'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특히 여론을 수렴하겠다는 것은 기술적 측면뿐 아니라 피해자 가족들의 입장과 국민 여론도 충분히 감안하겠다는 의미인데, 최근 사회적 분위기가 인양쪽에 기울고 있다는 점을 박 대통령이 십분 이해하고 있다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실 이 문제에 있어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갈등 양상이 불거지고 있는 모습이다. 세월호 참사 1주기를 맞아 실종자 가족 및 유가족들이 선체 인양을 요구하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이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새누리당 김진태 의원이 선체 인양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히자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이에 격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유기준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 언론인터뷰를 통해 선체 인양 여부와 관련,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공론화 방식은 여론조사"라고 밝혔다.
그러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가 각각 "옳지 못한 일"이라거나 "세월호 인양문제를 여론조사로 결정한다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밝히는 등 여론 수렴 방식 자체에 대해서도 정치권과 관가 등에서 의견이 갈라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야당은 물론 김무성 대표 등 여당 지도부도 적극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세월호 인양은 박 대통령의 언급으로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이 언급한 여론 수렴은 일단 여론조사라는 구체적인 방법을 의미한 것은 아닌 것으로 풀이된다.
세월호 참사의 상처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실종자 가족들의 의견이 중요한 데다 일부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선체 인양을 찬성하는 여론이 60∼70%대에 이르는 점 등을 감안해 여론 반영 의사를 밝히게 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