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 2위인 현대제철이 1위인 포스코보다 높은 1분기 영업이익율을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올 1분기(1~3월)중 매출액 3조4611억원, 영업이익 3405억원, 당기순이익 2515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1%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36%, 303.6%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9.8%로 3.9%p나 뛰어올랐다.
현대제철은 "철강 시황 부진으로 매출이 감소했지만 고부가강 판매가 늘어난데 힘입어 수익성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의 1분기 철강 판매량은 ▲판재 297만3000t ▲봉형강류 152만8000t 등 총 451만1000t이다. 이 가운데 고부가가강 제품은 194만t으로 5.4% 증가했다. 현대제철의 질주는 범(汎) 현대 가의 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철강산업 최대 수요처인 자동차(현대·기아자동차), 건설(현대건설 등), 조선(현대중공업) 분야에서 범 현대가는 현대제철의 안정적인 수요처다. 수요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다. 철강업게에서는 지난해 현대제철 판매량의 40% 가량이 범 현대가내에서 소화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면 '업계 1위' 포스코는 실적이 다소 주춤한 모양새다. 본업인 철강 부문은 그나마 선방했지만 건설 부문 실적 부진이 큰 영향을 미쳤다.
포스코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5조1009억1200만원원, 영업이익 7312억4100만원, 당기순이익은 3697억6300만원, 영업이익율 4.8%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2%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대규모 세금추징(1904억원)에 따른 기저효과로 564.5%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4.8%로 0.1%p 높아졌다.
철강부문은 글로벌 철강경기 부진에 따른 단가 하락 등 시황 악화에도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 등으로 비교적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포스코 단독 기준 매출은 6조7876억원으로 7.8%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6217억원, 당기순이익은 4997억원으로 각각 20.1%, 348.1%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9.2%로 2.2%p 상승했다.
하지만 건설 부문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도 부진했다. 철강경기 부진으로 단가 하락 등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건설 부문이 회복되지 않으면 2분기도 실적 개선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율동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