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원도심의 미관과 가로경관 개선을 위해 수십억 원을 들여 건축물과 영상 스크린을 설치했지만, 실효성이 떨어지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영상의 경우 낮에는 보이지도 않는데다, 전망대인 건축물은 거의 이용자가 없는 실정이어서 예산낭비 사례라는 지적이다.
경북 포항시는 시내 원도심의 가로경관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8년 2월부터 8월까지 실개천전망대를 조성했다.
건축물 25억 5천만 원, 영상 스크린인 LED미디어파사드 7억 1천만 원 등 총 35억 원이 소요됐다.
구 파출소를 폭포로 바꾼 것이 오래되고 제대로 물 공급이 안 돼 흉물이라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개선작업을 한 것.
그러나 원도심의 실개천 등을 내려다 볼 수 있게 전망대 형식으로 건축물을 만들었지만, 거의 이용하는 사람들이 없다.
특히, 요트 모양의 돛에는 영상 스크린인 LED미디어파사드를 설치했지만, 낮에는 햇빛의 반사 등으로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더구나 일반적인 미디어파사드는 기존 건물벽 등을 이용해 스크린을 꾸미거나 외벽에 LED 조명을 비춰 영상을 표현하는 것인데 반해, 이것은 LED미디어파사드를 위해 건축물을 만든 형국이어서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결과적으로 10억 원짜리 영상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해 2배가 훨씬 넘는 건축물을 만든 형국이어서“배보다 배꼽이 더 큰 것이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또 전망대라고 하지만 올라가는 계단에 영상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한 벽으로 요트 돛 모양이 다 인데, 이것을 만드는데 25억여 원이 들어갔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과다 공사비 지출에 대한 사법당국의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김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