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학계, 시민사회가 참여해 전자파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적극적 홍보를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재유 미래부 차관은 지난 8일 서울 서초동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대강당에서 전자파 관련 의학·공학·갈등해소 분야 민간 전문가와 이동통신사, 가전기기 제조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8차 ICT정책 해우소' 간담회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사물인터넷(IoT) 기기 확산과 이동통신서비스 유형의 다양화에 따라 향후 전자파를 둘러싼 갈등도 더욱 확산될 우려가 높은 만큼 공론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강원 한국 사회갈등해소센터 소장은 "주민들이 전자파를 우려해 기지국 철거를 요청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만큼 정부와 학계 및 시민사회가 참여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불식시킬 수 있도록 전자파 관리 제도 및 정책을 적극 홍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명성호 한국전기연구원 부원장은 "인터넷을 통해 잘못된 정보들도 많이 확산되고 있는데 정부가 적극적인 홍보를 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오해가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휴대폰 제조업체와 통신사들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남 충북대학교 정보통신공학부 교수는 "현재 휴대폰 사용과 건강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우리나라 제조업체와 관련 업계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해외에서는 민간 자율 규제로 전자파 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며 "초창기 모토로라는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적극 추진해 오늘날 많은 전문가들을 배출하는데 기여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