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선정 문제를 놓고 29일 정경두 국방부장관과 김영만 경북 군위군수가 면담했다. 그러나 성과는 없었다.
오히려 군위군은 회담 후 “국방부가 확정되지도 않은 안으로 군위군민을 농락했다”며 반발, 이틀 앞으로 다가온 공동후보지 유치 신청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했다.
국방부와 군위군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30분부터 50여분간 국방부에서 정경두 장관과 김 군수가 면담했다.
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정당하고 합리적인 절차에 따라 단독후보지(군위 우보)는 ‘부적합’ 확정됐으므로 이를 번복하거나 변경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특히 공동후보지에 대한 유치신청을 하지 않을 경우 향후 사업을 재추진하더라도 군위군과 의성군 지역은 이전 예정후보지가 될 수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분명히했다.
그러면서 “현재 군위군의 여론이 달라졌으니 현 상태로 소보지역에 대해 재투표하자”고 제안했다.
김 군수는 그러나 “여론조사는 믿을 수 없다”며 “투표를 하려면 그 이유가 달라지므로 그 이유를 적시하고 양 후보지 3곳 모두를 다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구·경북이 추진 중인 중재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김 군수는 “의성군수가 중재안을 거부하면 어떻게 되느냐”며 실현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정 장관은 “중재안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확실하지도 않은 안을 갖고 이야기하지 말라”며 함께 있던 국방부 실무자를 질책했다.
또 “군위군의 공동후보지 유치 의사결정이 먼저이고, 중재안은 그 이후에 협의해 나가야할 사항”이라며 “군위군이 소보지역에 대해 재투표할 의지가 있다면 내일(30일) 낮 12시까지 답을 달라”고 요청했다. 군위군이 재투표를 약속한다면 31일 긴급히 선정위원회를 개최해 유예기간 연장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하지만 김 군수는 “선합의하고 후에 하자는 데는 동의할 수 없다”며 유치신청 후 중재안 협의에 반대했다. 이로써 공동후보지를 전제로 한 시한 연장은 사실상 어려워진 것으로 판단된다.
국방부 관계자는 “군위군에서 내일 오전까지 ‘소보 재투표’ 방안에 대한 의견이 없는 경우 31일이 지나면 공동후보지도 단독후보지와 마찬가지로 최종적으로 부적합 확정된다”며 “향후 국방부는 사업의 재추진 등 새로운 방향의 의사결정을 할 수 밖에 없다”고 했다. <관련기사 6면> 박효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