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스코, 페놀유출사고 사회적 책임져야"..
경제

"포스코, 페놀유출사고 사회적 책임져야"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5/11 18:10 수정 2015.05.11 18:10
환경단체, "포스코 토양 정화방법 효율 미지수"



포스코 페놀범시민대책위와 환경운동연합은 11일 "포스코가 최악의 페놀유출사고 일으키고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들 단체는 11일 오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정문 앞에서 '강릉 옥계 페놀 유출 사건'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열어 "주민 생계 대책과 적절한 정화 계획 수립으로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보여줘야 한다"고 촉구했다.
포스코 페놀 유출 사건은 지난 2013년 6월 강릉시 옥계면의 주수천 교량공사과정에서 세상에 알려졌다. 페놀 등 오염물질이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에서 유출된 것이다.
강원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하수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페놀 2307㎎/㎏(지하수수질 기준치 0.005)로 지하수 수질 기준 46만 배나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운동연합은 "포스코가 3차에 걸친 정밀조사를 실시했지만, 조사가 부실하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높다"며 "일례로 환경부가 오염물질로 규정하고 있는 비소를 1차와 2차 정밀조사 보고서에서는 포함했지만 3차 보고서에서는 누락시켰다"고 지적했다.
또 포스코가 지난해 9월 주민설명회에 제출한 '마그네슘 제련공장 토양·지하수 정화계획'에 따르면 토양정화는 4년간(2014년 6월~2018년 6월) 진행하고 지하수는 11년간(2014년 9월~2025년 9월) 자연 정화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11년 동안 지하수를 자연 정화하겠다는 것은 11년 동안 오염물질을 방치하겠다는 의미"라고 꼬집었다.
포스코가 제시한 토양 정화방법은 토양세척과 토양세정(지중처리) 방법이다. 포스코는 오염된 토양의 20∼30% 정도만 토양세척을 하고 나머지는 물과 과황산나트륨을 흙속으로 주입해 다시 양수하는 토양 세정 방법을 이용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가톨릭 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토양세정법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사례가 없고 그 효율도 미지수다.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화율이 40%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토양정화 방법으로 사용하지 않는다"며 "오염물질을 50% 정도도 제거하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더 큰 문제는 주민들의 건강"이라며 "주민들의 불안을 불식시키는 차원에서 주민들에게 실시한 건강영향평가에 대한 결과를 조속히 발표하고 문제점이 있다면 합당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지역경제 피해도 상당하다"며 "강릉시는 지난해 9월 마그네슘 공장 인근 농경지에 대한 경작금지 명령을 내렸다. 오염된 농경지에서 농사를 짓던 일부 농민들에게 포스코는 적절한 보상을 하지 않고 있다"고 한탄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해 6월 25일 주수천 인근 물 구덩이에서 붕어가 떼죽음 당하고 같은 해 8월 금진해변에서 대규모 조개 폐사 등 전례 없는 생태계 파괴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정확한 역학조사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