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인도 경제협력관계를 강화해 침체돼 있는 해외 수출시장의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8일 오후 청와대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안보와 경제 등 제반분야에서의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외교·안보·국방, 경제·통상·과학기술, 사회·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의 실질협력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난 2009년 9월에 체결한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개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한·인도 CEPA의 자유화율은 75%로 90%에 달하는 일·인도 CEPA의 자유화율보다 현저히 낮아 우리기업이 일본기업에 비해 불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특히 모디 총리는 인도를 세계 제조업 허브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박 대통령에게 제시함으로써 양국간 경제 협력은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해 발표한 '한·인도무역동향 및 시사점'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 인도 수출은 지난 2012년 이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연평균 대세계 수출증가율인 8.5%보다 많은 13.4%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자재 수출이 5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자본재 수출비중은 41.3%로 최근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재 수출 비중도 4.5%에서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대 인도 주요 수출품목 중 철강판,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등 중화학공업 제품이 83.0%를 차지하고 인도 수출품목 189개 중 98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