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국민 10명 중 8명 "中企 적합업종제도 필요&..
경제

국민 10명 중 8명 "中企 적합업종제도 필요"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7/15 16:36 수정 2015.07.15 16:36

 
국민 10명 중 8명은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중소기업중앙회 중소기업 적합업종 경쟁력강화위원회는 1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적합업종 관련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전문리서치기관을 통해 전화조사(CATI 방식)으로 실시됐다. 신뢰수준은 95% ±3.1%p다.
조사결과, 대기업이 영세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사업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하는 것에 대해 응답자 중 81.1%는 '잘못'됐다고 답변했다.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도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8.5%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적합업종 제도의 필요 이유에 대해서는 57.7%가 '우리나라 경제의 풀뿌리인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이 잘 돼야 경제가 튼튼해지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자본, 조직이 열악한 경제적 약자로 공정한 경쟁이 어렵다(48.5%)', '대기업의 시장 잠식으로 독과점이 발생해 제품가격이 상승(34.6%)' 이라는 답변이 나왔다.
또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의 확대 및 유지에 대해 85.3%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며 전 직업·연령군에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아울러 현행 3년의 적합업종 지정 기간의 연장에 대해 전체의 84.0%가 '바람직하다'고 답변했다.
향후 우리의 경제정책은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으로 전환돼야 주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6.1%가 동의했다.
박성택 회장은 "국민들은 대기업 중심의 경제정책 추진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며 "정부의 지원을 통해 성장한 대기업의 갑질문화를 근절하고, 중소기업들이 자유로운 기업환경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