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계가 5세대(G) 이동통신 기술 개발에 앞다퉈 뛰어들었다.
SK텔레콤은 차이나모바일이 주최하고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이 지원하는 'GTI 서밋(Summit) 상하이 2015'에 NTT도코모와 참석해 5G 기술 개발 동향을 공유했다고 16일 밝혔다.
15일 상하이 푸동에서 열린 이 행사에는 시궈화 차이나모바일 회장, 전 GSMA 회장인 크레이그 에를리히 GTI 의장, 앤부베로 GSMA 사무총장을 비롯해 한·중·일을 대표하는 통신사 CTO(최고기술경영자) 등이 참석했다.
최진성 SK텔레콤 CTO는 5G를 '혁신적 서비스·플랫폼·초고속 인프라' 등 3개 체계로 분류했다. 최 CTO는 5G가 상용화되면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로 입체적인 영상을 보여주는 홀로그램과 무안경 3D 영상 등 생동감 넘치는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최 CTO는 "SK텔레콤은 5G 세부 네트워크 구조와 청사진을 국제무대에 선도적으로 제시하는 등 5G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5G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글로벌 ICT 리더들과 함께 5G 기술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KT는 아시아 최대 이동통신 박람회인 'MWC 상하이 2015'에서 5G 비전과 5G 기반 융합서비스 발굴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동면 KT융합기술원 원장은 16일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5G 리더십' 세션의 강연자로 나서 KT의 5G 비전과 글로벌협력(KT's 5G Vision & Partnership towards 5G)'에 대해 발표했다.
이 원장은 "KT의 5G는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위에 초고속·대용량 무선망, 대규모 연결성, 초저지연 전송이 이뤄지는 방식으로 설계될 것"이라며 "소프트웨어 중심의 클라우드 지능형 인프라에 기반을 둔 유무선 통합 5G 네트워크로의 단계적 진화와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5G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5G 표준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며 "상용화에 필요한 시스템과 단말기 개발, 효율적인 망 구축 및 운용과 더불어 차별화된 5G 융합서비스를 발굴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