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불볕더위에 여름 상품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폭염은 일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인 더위를 말한다. 서울, 부산, 광주, 제주에는 폭염 주의보가, 대구, 울산, 대전 등 경상남북도 지역에는 폭염 경보가 발효된 상태다.
이 같은 불볕더위에 여름 상품의 매출도 희비가 엇갈렸다.
롯데마트가 폭염이 시작된 7월26일부터 8월8일까지 2주 동안 '여름 상품' 매출을 살펴본 결과, '장마' 관련 상품 매출은 감소하고 '무더위' 관련 상품 매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전주(7월12~25일) 대비 우산 매출은 41%, 장화는 30.5%, 레인코트는 56.4% 감소한 반면, 같은 기간 양산 매출은 2배(95.9%) 가까이 급증했다.
장마철 사용이 잦은 와이퍼의 매출은 20.2% 감소했으나 세차용품 매출은 23.1% 신장했다. 제습제는 6.5% 감소한 반면 탈취제는 55.1% 증가했다.
차갑게 마시는 차 음료의 매출은 62.9%, 냉커피는 12.8% 성장했으나, 따뜻한 물에 타 먹는 티백 차와 일반 믹스 커피의 매출은 각각 11.9%, 5.6% 감소했다.
마른 장마와 폭염으로 모기가 자취를 감추면서 살충제와 모기장 매출은 각각 8.2%, 0.8% 감소했다.
연이은 불볕더위에 무더위를 식혀 줄 상품들은 호조를 보였다.
갈증을 해소해주는 생수(41.6%), 탄산음료(39.8%), 이온음료(82.2%), 얼음(155.1%) 등의 매출이 급증했다.
열대야에 숙면을 도와주는 대나무 자리(57.1%), 쿨 시트(64.8%)의 매출도 증가했다. 뜨거운 햇볕을 차단해주는 선 케어와 쿨 스카프 매출은 각각 72.9%, 72.2% 성장했다.
또 휴가 기간이 다가오면서 물놀이 용품의 매출은 137.3%, 스포츠 샌들과 아쿠아슈즈 매출도 각각 187.6%, 28.9% 증가했다.
이밖에 아이스박스는 175.9%, 쿨러백은 270.9%, 아이스팩은 125.5% 매출이 성장했다.
변지현 롯데마트 마케팅전략팀장은 "연이은 폭염으로 여름 상품들 매출이 대조된 모습을 보인다"며 "기후와 소비자 수요를 고려해 관련 상품들의 진열 면적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