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경제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
65세 이상 가구주 중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중위소득 150% 이상' 우피(Woopie·Well-off older people)족(族)과 그 반대인 '중위소득 50% 미만' 푸피(Poopie·Poorly-off older people)족간 소득 격차가 벌어지고 있어 푸피족에 대한 정부 차원의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9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2006~2014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사용해 분석한 '우피족과 푸피족'에 따르면, 작년 전체 고령층 371만 가구 중 54.0%(200만)가 경제적인 여유가 없는 푸피족으로 분류된다.
푸피족의 월평균 월평균 경상소득(명목소득)은 63만원으로 지난 2006년 51만원보다 연평균 2.7% 증가했다.
반면 우피족은 같은 기간 448만원에서 580만원으로 연평균 3.3% 늘어 우피-푸피족간 소득 격차는 2006년 약 8.8배에서 2014년 약 9.2배로 확대됐다.
기초노령연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할 경우 우피-푸피족간 소득 격차는 더 벌어진다.
경상소득에서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한 월평균 시장소득은 우피족이 2006년 379만원에서 지난해 442만원으로 1.9% 증가했지만 푸피족은 오히려 소득이 감소했다.
우피족은 같은 기간 2006년 39만원에서 2014년 33만원으로 연평균 2.1% 감소해 2006년 약 9.7배에서 2014년 13.4배로 더 벌어졌다.
푸피족의 증가는 ▲독거노인가구의 증가 ▲여성 가구주 증가 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170만 독거노인가구 가운데 푸피족은 122만 가구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6년 68.8%에서 71.9%로 3.1%포인트 증가했다. 또 같은기간 고령층 여성 가구주 중 푸피족의 비중도 67.6%에서 69.8%로 증가했다.
특히 푸피족의 경우 지난해 기준 중졸 이하 학력의 가구주가 66.8%로, 임시일용직 비중도 72.0%에 달해 일자리 안정성이 낮은 것도 문제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용화 선임연구원은 "푸피족의 증가는 정부의 재정부담 등 경제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푸피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일자리 지원 확대,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 공적연금 및 사적연금 확대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