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대학생들 대부분 임금 피크제 도입 찬성..
경제

대학생들 대부분 임금 피크제 도입 찬성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9/09 17:56 수정 2015.09.09 17:56
저성과자 해고도 10명중 9명이 "그렇다"


 

대학생 10명 중 7명은 노동시장개혁 쟁점 사안인 임금피크제 도입을 찬성했다. 저성과자에 대해서는 10명 중 9명이 '해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달 31부터 9월3일까지 진행한 '2015년 지역 인재 채용설명회'에서 경북대·충남대·부산대·전남대 학생 1746명에게 임금피크제 도입과 저성과자 해고 등 노동현안을 물은 결과다.
정년연장에 따른 임금피크제 도입은 '노조의 동의 없이도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가 10.4%, '상당 기간 협의했음에도 노조가 반대할 때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가 59.5%, '노조가 동의해야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가 28.6%였다. 즉 응답 대학생 69.9%가 노조가 반대해도 기업이 도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근무태도가 불성실하거나 업무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근로자는 '기업이 재교육, 재배치 등의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개선의 여지가 없다면 해고할 수 있어야 한다'가 57.2%나 됐다. 이어 '3년 동안 근로자의 업무 성과가 최하등급이면 해고할 수 있어야 한다'가 31.4%, '성과가 낮은 근로자라도 정년까지 해고할 수 없다'가 9.6%였다.
임금체계 개편에 대해서는 '현행 임금체계(연공급)에 성과급 절충'(56.2%), '성과에 따라 임금을 지급하도록 임금체계 개편'(35.1%), '성과와 관계없이 근무 기간에 따라 높은 임금을 받는 현행 체제 유지'(6.7%) 순이었다.
근로시간 단축은 '기업의 특성, 업종 경기 등을 반영해 기업과 근로자 간에 자율적으로 정해야 한다'(51.1%), '중소기업의 입장을 고려해 대기업부터 단계적으로 추진돼야 한다'(37.2%), '기업의 상황과 관계없이 즉시 단축해야 한다'(9.9%) 순으로 답했다.
고용절벽의 원인인 기업의 신규채용 감소 이유에 대해서는 '국내외 경기상황 악화로 경영실적 감소'(42.5%), '정년이 60세로 연장됨에 따른 신규채용 T/O 부족'(23.7%), '통상임금 증가와 성과와 관계없이 증가하는 임금체계로 인한 기업의 인건비 부담 증가'(17.4%) 등을 꼽았다.
전경련 이철행 고용복지팀장은 "노사정위원회 노동개혁 논의가 임금피크제 도입과 저성과자 해고 때문에 진척을 보이지 않고 있는데 대학생의 70% 이상이 두 가지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응답한 점을 노사정이 존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