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시장 호조세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 확대
전국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가가 이달 들어 모두 올랐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7일 기준 전국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2%, 전세가는 0.17% 상승했다고 10일 밝혔다.
매매가는 여름철 비수기 동안 안정적인 오름세를 보였지만 이달 들어 상승폭이 확대(0.11%→0.12%)됐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방안 전에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 지역에서는 대구 등의 분양시장이 호조세를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과의 접근성은 뛰어나지만 집값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김포와 고양시를 중심으로 0.15% 올랐다.
시도별로는 ▲대구 0.31% ▲제주 0.24% ▲서울 0.17% ▲경기 0.15% ▲경북 0.13% ▲부산 0.13% ▲울산 0.11% ▲광주 0.10% ▲인천 0.09% 순으로 올랐다. 충북만 유일하게 0.05% 하락했다.
서울은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0.17%)을 유지했다.
강북권은 매매로 전환하는 실수요자의 수요가 지속됐다. 강남권은 최근 단기간에 집값이 오른데에 대한 부담과, 강동구와 서초구의 재건축단지가 이주시기를 조정하면서 사업지연에 대한 우려감이 겹쳐 상승폭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전셋값의 경우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확대(0.15%→0.17%)됐다.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로 접어들면서 월세로 전환된 물량이 증가해, 수급불균형이 지속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수도권의 전셋값은 지난주보다 0.24% 올랐다. 특히 서울과 인천이 크게 올랐다. 지방은 부산과 광주, 강원, 세종시를 중심으로 크게 오르면서 지난주보다 0.09% 증가했다.
지난주 대비 시도별 전셋값은 ▲서울 0.32% ▲경기 0.20% ▲인천 0.19% ▲대구 0.16% ▲부산 0.13% ▲광주 0.13% ▲강원 0.13% ▲경북 0.13% ▲울산 0.11% 순으로 모든 시도에서 올랐다.
서울은 지난주보다 0.32%가 올랐다. 강북권은 노원구와 동대문구의 역세권을 중심으로 중소형단지의 전셋값이 상승했다. 강남권은 강동구와 양천구를 중심으로 전세가격이 증가했다.
구별로는 ▲강동구 0.61% ▲노원구 0.58% ▲양천구 0.44% ▲동대문구 0.43% ▲구로구 0.37% ▲관악구 0.35% ▲강남구 0.33%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