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전쟁 가능한 나라'…여야, 한목소리 비판
일본이 집단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안보 관련 법안들이 일본 참의원 본회의를 통과한 데 대해 여야는 20일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다만 야당은 박근혜 정부가 이에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신의진 대변인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해당 법안은 후세의 평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일본국민과 동북아의 평화를 위협하고 해치는 것이다. 주변국과 자국민의 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은 아베 총리는 그 누구에게도 인정받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평화헌법에 역행하는 우경화 독주를 즉각 멈추고 전쟁가능법안들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신 대변인은 이어 "아베 총리는 일본의 전쟁가능법안이 미래를 위한 결단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정작 국회 밖에서는 대다수의 일본 국민들이 전쟁을 반대한다며 밤새 분노를 쏟아내고 있다"며 "민심을 무시한 아베 총리는 미래 세대들에게 국론 분열을 일으킨 당사자로 각인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도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일본 국민들의 반대와 동북아 주변국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강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이제 전쟁 가능한 나라로 변신했다"면서 "설마 했던 우려가 현실로 바뀌었다. 일본의 극우세력을 중심으로 하는 군사대국화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그런데 박근혜 정부는 '우리 정부의 요청이나 동의가 없이는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말만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있다. 마치 남의 일처럼 말하고 있다. 침묵 뿐"이라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단재 신채호 선생의 경구를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