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노사정위원장, 청와대 오찬서 밝혀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오후 청와대에서 노동개혁을 위한 노사정 대표들을 초청, 격려 오찬을 하고 있다. 박병원(왼쪽부터)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 박근혜 대통령, 김동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이기권 고용노동부장관.
김대환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장은 22일 향후 계획과 관련해 "간사회의를 통해서 앞으로의 후속과제, 향후 논의 일정 등을 협의해 현재 곧바로 10월 초면 후속 논의가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낮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초청으로 김동만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등과 함께 오찬을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특히 이번에 합의된 내용의 실제 이행이 앞으로 굉장히 중요할 것 같다"며 "그래서 저희 위원회에서는 이행점검단을 구성해서 노사정 합의사항에 대한 이행 실적을 면밀히 평가하고, 또 대통령께서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계시기 때문에 대통령께도 보고를 드리겠다"고 언급했다.
또 "이 대타협의 기본 합의의 정신을 확산하고 지켜나가는 것이 앞으로의 과정에 있어서 관건"이라며 "우선은 이 합의된 사항을 노사정이 합의의 정신을 끝까지 유지하고 후속 논의에 대한 논의도 이 바탕으로 해서 진행해나가려고 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성명을 통해 정부와 여당의 노동개혁 5대 법안 입법과 관련, "입법 발의안에는 추후 논의하기로 한 부분도 있는 만큼 노사정 합의정신이 훼손돼서는 안 된다"며 ""진통 끝에 합의안을 도출한 만큼 어느 일방의 희생과 양보를 강요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 같은 자신의 성명과 관련해 이번 대타협의 기본 합의정신을 계속 유지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이날 오찬에서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이번 합의와 관련해 "지난해 9월 19일 논의 시작의 시점으로부터 보면 360일이 걸린 타협이었다"면서 "위기가 발발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의미가 있고 두 번째는 일부 사항이 아니라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위한 종합적인 청사진이 마련됐다는 점"이라고 대타협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어 "우리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안정성을 조화를 시킨 것은 특별한 동태적 균형을 지향하고 있는 합의"라며 "다소 진통은 있었지만 상당히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서 이번 타협안이 도출됐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또 다음달 토론회를 열어 합의안의 쟁점을 정리하고 이를 자료로 만들어 국민들에게 알리겠다는 계획과 함께 국제노사정기구연합 측에 전달하기 위한 합의문 번역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 등도 이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