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주자 후보론…"일고의 가치도 없다"
취임100일 앞두고 출입기자 간담회 가져
황교안 총리가 22일 "부정부패척결이 성과를 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황 총리는 취임 100일(9월25일)을 사흘 앞둔 이날 세종시 총리공관에서 출입기자들과 오찬간담회를 열고 "부정부패척결이 단기간에 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로 잡아야 한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총리 임기 중 규제개혁에 역점을 두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황 총리는 "규제개혁이 엄청나게 많다"며 "그런데도 (규제가) 계속 만들어진다"고 토로했다. 그는 "규제가 기업 발목을 잡는 중요한 요소"라며 "빈부 사각지대, 경제적 사회적 약자를 돌보고 챙기는 일을 총리실에서 앞으로 해야겠다"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이어 "비리는 검·경만 하는 게 아니다. 탈세는 국세청이 담당한다. 불법으로 돈을 인출하거나 반출하는 것은 금융위원회가 맡는다. 공정거래위원회, 관세청 등 각 부처마다 자체 감찰시스템이 있다. 총리실에는 부패척결추진단이 있다"며 "이런 것들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관리하겠다"고 설명했다.
'안전 총리'라는 이름에 걸맞게 황 총리는 안전의 중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기본적으로 안전이 중요하다. 국민들의 안전이 최우선 가치다"라며 "사실 국민의식이 기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속내를 내비치기도 했다.
황 총리는 "법규를 지키면 사고가 안 난다. 대부분 규칙대로 하지 않아서 사고가 난다"면서 "총리실과 해당 부처가 독려하고 있어 (안전 부분은) 시간이 조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일각에서 떠도는 대권주자 후보론과 관련해선 단호하게 반박했다. 황 총리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 총리하기도 바쁘다"며 "공안을 오래했지만 공안과 정치는 다르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공안 업무 중에 작은 파트 하나가 정치적 사건이다. 정치인 비리 같은 게 있는데 이게 정치는 아니다"라며 "경제인 처벌한다고 경제하는 게 아니다"라고 부언했다.
황 총리는 "미래창조과학부 등의 세종시 이전을 행정자치부가 검토 중이다. 이전하려면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지금은 건물이 없다"고 설명했다.
황 총리는 "(청사 이전과 관련해) 여러 문제가 남아 있다"며 "또 행자부를 이전할 것인지, 서울에 남겨야 할 것인지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최근 시행에 들어간 청년희망펀드가 청년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황 총리는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력의 일환은 노동개혁"이라며 "일자리 기본 계획은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다"고 소개했다.
황 총리는 이어 "펀드는 노사정이 합의해서 노동개혁을 이뤄 청년일자리 만들자는 뜻을 같이 했기에 사회지도층이 뭐든 동참하자는 순수한 생각으로 하는 것"이라며 "일자리를 만들려는 구조는 아니고, 청년일자리 확보 노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차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