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 문화원 개원이래 현직 대통령 첫방문
유엔(UN)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28일 마지막 일정으로 뉴욕한국문화원을 방문했다. 외국에 한국문화원이 개원한 이래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첫 방문이다.
'문화융성' 차원에서 세계 문화의 중심도시인 뉴욕에서 한류 확산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겠다는 취지다. 현지 문화예술계·스포츠계 인사 등으로 구성된 '케이컬처(K-Culture) 서포터즈'도 구성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현지시간) 뉴욕한국문화원에서 '한국 전통문화의 재발견'을 주제로 열린 국가브랜드 전시 및 케이컬쳐(K-Culture) 체험행사에 참석했다.
1979년 재외 한국문화원이 첫 개원한 이래 현직 대통령이 문화원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79년 일본에 도쿄문화원이 생겼고 이어 같은 해 12월에 뉴욕문화원이 문을 열었으며 현재 총 28개의 문화원이 개설돼있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한국문화원을 직접 방문한 것은 문화융성과 창조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전통문화에 기반한 국가브랜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한류 확산을 통한 '코리아 프리미엄(Korea Premium)' 창출의 전진기지로서 한국문화원이 더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는 입장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문화원 1층에서 대한민국 국가브랜드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된 한·미 주요 인사들의 '한국다움'에 관한 릴레이영상을 관람하고 한국문화와 관광콘텐츠를 담은 '인터랙티브 도어' 등을 체험했다.
또 6층 문화원에서는 한식과 한복, 공예품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실물과 함께 최신 쌍방향 미디어전시기법으로 소개한 케이컬처 체험관을 둘러보고 문화상품들에 인증마크도 부착했다.
체험관에서 부착하는 인증마크는 국가브랜드 시범 공모전 수상작의 태극 옷고름을 모티브로 만든 것으로 한국 대표 문화상품의 품격을 상징하는데 활용하게 된다.
또 체험관의 전시 콘텐츠들은 오는 12월 개설될 아랍에미레이트의 한국문화원을 비롯해 등 앞으로 개설되는 재외문화원들의 기본모델로 활용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은 전시 참관 뒤에는 현지 문화예술계·학계·스포츠계·패션계 인사 및 한국전쟁 참전용사, 학생 등으로 구성돼 이날 발대식을 갖는 케이컬처 서포터즈를 만나 양국 문화교류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뉴욕한국문화원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있는 한국문화원이 5000년 한국문화의 매력을 알리고 국가브랜드를 소개하고 문화외교를 잘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프랑스 파리에 유학하던 시절 하숙집 주인의 손자이면서 서포터즈에 참여한 에드가 버드빌씨는 "조부모의 홈스테이 때의 인연을 생각하게 된다"며 "대사 활동을 기쁘게 하고 싶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