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의석 결정 D-1, 여야 2+2 회담 물 건너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위원장 김대년)가 내년 20대 국회의원총선거 지역구 의석을 결정할 시점을 하루앞둔 1일 여야의 지역구수와 비례대표수에 관한 협상은 공전을 거듭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농어촌지방 대표성 확보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한 2+2 회담을 야당에 제안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를 사실상 거부하면서 선거구 획정 기준안 마련을 위한 협상도 금명간 이뤄지긴 어렵게 됐다.
이에 따라 선거구 획정위가 2일 '244~249석' 범위 내에서 지역구 의석수를 결정하게 되면 농어촌·지방 의원들의 극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與 회담 제안에 野 거절…"농어촌 피해 최소화 거부한 것"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를 마친 뒤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에게 선거구 획정 기준안 마련을 위한 2+2 회담을 공식 제안했다.
그러나 야당은 여당의 이 같은 제안에 대해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내분으로 쏠린 국민들의 따가운 시선을 돌리려는 꼼수"라고 비판하며 거절했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야당의 회담 제안 거부 사실이 알려지자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결국 농촌 지역구가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거부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우 수석대변인도 브리핑을 열고 "문재인 대표는 농어촌을 버릴 것인지, 그것이 아니라면 당장이라도 농어촌 지역구 살리기를 위한 확실한 입장을 내놔야 한다"고 촉구했다.
◇13일 선거구 획정안 국회 제출…농어촌 의원 반발 예상
한편 선거구 획정위는 2일 지역구 의석수를 결정한 후 구역 및 경계 조정 등 세부적인 사항을 정리해 오는 13일 국회에 선거구 획정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선거구 획정위는 244~249석에 따른 6개의 선거구 조정 시뮬레이션 결과를 두고 고심하고 있지만 현행 지역구 의석수인 246석을 유지하거나 249석으로 확대하는 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선거구 획정위가 지역구 의석수를 현행대로 유지하거나 249석으로 확대하더라도 농어촌 지역 의석수 축소는 불가피해 진통이 예상된다.
특히 농어촌 의원들은 이날부터 선거구 획정위의 획정안 제출시한인 오는 13일까지 국회에서 농성을 진행하며 여야 지도부와 선거구 획정위에 농어촌지역 대표성 확보 방안 마련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들은 이날 농성에 돌입하며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 대표는 조속한 시일 내에 농어촌 지역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칙과 기준을 마련해 합의하라"며 "또 농어촌 지역대표성 확보, 지역균형발전, 기형적 선거구 방지를 위해 농어촌·지방 특별선거구 설치를 적극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또 "획정위는 정치권에서 농어촌·지방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준과 원칙이 마련될 때까지 선거구 획정을 잠정 연기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