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2조1455억원(일반회계 1조7745억원 특별회계 3710억원) 규모의 2025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20일 구미시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2024년 당초예산 2조20억원 대비 1435억원(7.17%)이 증가한 것으로 정부 예산안 증가율(3.2%)과 경북도 예산안 증가율(5.19%)을 웃도는 수치로 정부의 건전재정기조 유지와 국세수입 저조, 부동산 거래 정체, 반도체 경기 악화에 따른 세수부족으로 인해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가용재원을 최대한으로 반영한 적극적인 예산편성으로 지역경기 회복 및 차질없는 현안사업 추진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도 회계별 세입예산안
△일반회계는 금년대비 1,008억원이 증가한 1조7745억원이며 △특별회계는 금년대비 427억원이 증가한 3710억원으로 편성한다.
▶2025년도 일반회계 세출예산 기능
△생계급여 지원기준 완화 및 최저보장수준 상향 등에 따라 사회복지 분야가 6080억원으로 일반회계 예산의 가장 큰 34.26%를 차지하며 △농림해양수산 1670억원(9.41%), 환경 1358억원(7.65%), 문화 및 관광 1258억원(7.09%), 교통 및 물류 1223억원(6.89%) 등으로 편성한다.
2025년도 예산안의 중점투자사업으로
▶인구구조 변화 대응·청년 미래도약을 위해 청년근로자 결혼장려금 지원 4억원, 산후조리비 지원 6억원, K-보듬(마을돌봄터, 공동육아나눔터, 지역아동센터 연장운영)30억원, 청년월세 한시특별 지원 47억원, 경북도 일자리 편의점 구미지점 사업 5.5억원, 지역 외 대학교 통학생 교통비 지원사업 1억원, 원룸공실해소 청년근로자 지역정착사업 2억원 등을 편성했다.
▶정주여건 개선·도시인프라 구축
상모∼사곡간도로확장(대2-5호) 50억원, 거의∼대백아파트간도시계획도로(중1-30호) 20억원, 원지평로네거리 입체교차로 설치 20억원, 거의동도시계획도로(대1-12호)확장 20억원, 회전교차로 설치 15억원, 오태도시계획도로개설(중3-26호) 10억원, 선산도시계획도로(소1-13호) 개설 10억원 등 대규모 SOC 사업투자로 지역경기 활성화에 기여하고, 대경선 개통에 대비해 시내버스 차량 구입 41억원, 비수익노선 손실보상 80억원, 교통카드 환승 할인액 손실보전 43억원, 광역철도 손실보상 및 운영지원 21억원을 편성해 대중교통 편의성 증대에도 적극 이바지할 계획이다.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지원
구미사랑상품권 할인율 보상금 54억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출연금 30억원 및 이차보전 23억원,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 16억원, 디자인AI 인프라 구축 43억원, 지역 내 기업투자인센티브 42억원, 지방투자촉진보조사업 143억원, New Venture 창업 지원사업 7억원, 선도기업 월드클래스 육성 지원사업 3억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예산도 적극 편성했다.
▶활기찬 낭만도시 조성
아시아권 육상대회 중 가장 큰 규모의 권위있는 대회이자 기초자치단체로는 최초로 유치 성공한 2025 구미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85억원, 구미문화산단조성 부지매입비 75억원, 구평국민체육센터건립 53억원, 육상전지훈련장(에어돔) 조성 40억원, 스포츠클라이밍센터조성 27억원, 금오산 경관(불빛)분수 조성 20억원 등이 투입될 예정이다.
▶농업인 생활 및 소득안정화 구현
공익증진직접지불금 195억원, 농어민수당 80억원, 농산물도매시장 채소동 시설 현대화사업 32억원, 신촌지구 배수개선 사업 30억원, 도개 신림지구 지표수보강개발사업 20억원, 산동읍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 15억원, 심각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115억원(자체 사업비 40억원 포함)의 예산을 편성했으며, 향후에도 농업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전생애 주기 돌봄·포용적 복지 실현
기초연금 1394억원, 생계급여 579억원, 영유아보육료 536억원, 부모급여 242억원, 아동수당 241억원, 장애인활동지원사업 213억원, 장애인연금지원 81억원,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 203억원, 임차급여 162억원, 초중고, 유치원 급식비 지원 83억원, 첫만남이용권지원 43억원, 출산축하금 24억원 등을 편성해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복지를 지원할 계획이다. 김학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