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역대 1월 기준으로 20년 만에 최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전체 가입자 규모도 3달 연속으로 줄면서 경기 불황이 고용 한파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고용노동부가 10일 발표한 '2025년 1월 고용행정 통계로 보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517만4000명이다.
고용보험 전체 가입자 수는 1년 전인 2024년 1월과 비교해 11만5000명(0.8%) 증가했으나, 전월(16만명)에 비해 증가폭이 4만5000명이나 줄었다.
특히 1월 기준으로만 보면 2004년 1월 7만3000명이 증가한 이후 역대 1월 중 가장 낮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상시 가입자 수도 3달 연속 줄었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해 10월(1549만명)에서 같은 해 11월(1547만7000명) 감소로 전환한 뒤 12월(1531만1000명), 1월(1517만4000명) 연이어 감소하고 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인 '구인배수' 역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1월 0.23 이후 가장 낮은 0.28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건설업 가입자가 2만1000명 줄면서 18개월 연속 감소했다. 건설업 가입자 수는 2023년 8월 관련 통계 집계 후 처음으로 '0'명을 기록한 뒤 계속해서 순감소하는 추세로, 좀처럼 반등의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2024년 한 해 동안 건설업 가입자 수 증감은 1월 -2000명 2월 -4000명 3월 -6000명 4월 -7000명 5월 -8000명 6월 -1만명 7월 -1만2000명 8월 -1만3000명 9월 -1만5000명 10월 -1만5000명 11월 -1만7000명 12월 -1만7000명이었다. 지난달에는 감소폭이 더욱 커져 2만명대를 기록한 것이다.
정부는 이에 대비해 지난해 8월 일용근로자 고용보험 가입확대, 내일배움카드 훈련비 상향을 통한 전직 지원 등 대책을 내놨지만 전반적인 업계 상황이 좋지 않아 이 같은 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 가입자 수는 1만1000명 증가, 고용허가제(E-9) 외국인력 비중이 높은 업계 특성상 내국인 가입자 수는 되레 1만7000명 줄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