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2일부터 부과
쿼터제 종료 알루미늄 10%
미국 백악관이 다음달 12일부터 한국산 철강에 대해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확정했다. 알루미늄엔 10% 관세가 부과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현지 시간) 포고문을 발표해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수출 협정이 미국 동부시간 기준 3월12일 0시1분(한국시간 오후 2시1분)부터 효력을 잃는다고 밝혔다. 일본과 캐나다, 멕시코, 유럽연합(EU),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과 맺은 협정도 종료된다고 명시했다.
이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해당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철강에는 25%, 알루미늄에는 10% 관세가 부과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임기에서 무역확장법 232조를 바탕으로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이후 한국 등과 철강 무관세 쿼터 협정을 체결해 일부 수입품에 면세했는데, 이 때문에 국가 안보 위협이 계속됐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 안보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이러한 조치의 이행과 효과를 모니터링할 것"이라며 "적절한 경우 이 결정을 재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뉴시스
“철강산업 무너지면 한국경제 흔들”
이강덕 시장 ‘긴급 호소’
범정부 차원 공동 대응
이강덕 포항시장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 제품 관세 부과 발표에 국내 철강산업과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며 범정부 차원의 공동 대응을 호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철강과 알루미늄 수입품 전체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지난 10일 서명한 뒤 이번 관세에 예외나 면제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내달 12일(현지시간)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될 전망이다.
이에 이강덕 포항시장은 11일 호소문을 발표해 여·야·정부를 막론하고 이 상황을 엄중히 받아들여 특단의 대책과 지원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글로벌경기 침체와 중국산 철강 공세, 철강 수요 감소로 인해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비롯한 국내 철강업계가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이번 관세 부과 조치 대응에 시기를 놓친다면 우리나라 경제는 더 큰 충격으로 회복 불능의 상황에 놓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철강산업은 건설, 자동차, 조선 등 주력산업의 기초 소재가 되는 국가기간산업으로, 철강이 무너지면 한국 경제 전반이 흔들리게 된다며 어려움에 직면한 철강업계를 응원하고 철강산업을 지키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미국의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정책 변화로 지역 철강산업은 물론 국내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며 말했다.
또 “절체절명의 위기에 직면한 철강산업을 지키기 위해 여·야·정부를 막론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해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호소했다. 김재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