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75억 투입 재건 비전 제시
김광열 영덕군수는 2일 정례조회를 통해 3월 말 발생한 초대형 산불에 대한 이재민 지원 현황과 지역 재건의 비전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김 군수는 현재 영덕군의 산불 복구 상황에 대해 “단순한 복구를 넘어 미래를 향한 완전한 회복과 재건의 단계로 들어설 차례”라고 규정하며, 총 4,575억 원 규모의 재해복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지정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사유·공공재산 재해복구비 3,700억 원을 포함해 영덕군이 정부에 따로 건의해 확보한 마을재건 사업비 875억 원을 더한 금액이다.
이를 바탕으로 영덕군은 재해복구사업으로 △임시주택 지원 TF팀 운영 △숲과 생태 복원 계획 수립 △산불 피해지 긴급벌채 사업 △산사태 등 2차 피해 예방 사업 △과수 단지와 연계한 밀화원 특화 숲 조성 등을 차질 없이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피해 마을 주민과 각계 전문가의 의견 수렴해 △특별재생지역 석리ㆍ노물리 도시재생사업(490억) △경정1·3리 일반 농산어촌 개발사업(76억) △수암리·대곡리 마을단위 복구 재생사업(168.6억) 등을 성공적으로 추진해 마을재건 사업을 더 나은 마을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의지다.
관광 분야도 정상화를 넘어 성장세에 있다는 소식이다. 한국관광데이터렙의 통계에 따르면, 영덕군의 관광객 수는 산불 여파로 전년 대비 7.5% 감소했지만, 5월 들어 같은 기간보다 15% 늘어나고 소비 증가율 역시 21% 증가하고 있다.
이는 영덕군이 ‘관광이 곧 기부’라는 슬로건 아래 다양한 프로그램과 전국 단위 대회를 유치하고, 전략적인 연계 사업으로 지역의 관광과 소비를 활성화한 성과로 풀이된다.
이에 더해 영덕군은 국토부·경북도와의 협력으로 특별재생지역에 선정된 석리와 노물리를 그리스 산토리니나 이탈리아 아말피와 같은 세계적인 관광지로 거듭나도록 산불 피해 복구계획을 관광특화사업과 연계해 추진함으로써 현재의 성과와 지난 4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쾌거를 이어간다는 복안이다.박두원기자[일간경북신문=일간경북신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