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은 유·초·중등교육과 평생교육을 관장하는 지방교육의 최고 책임자다. 교육예산을 편성·집행하고 유·초·중등교원의 인사권도 행사한다. 또 교육감은 학교를 없애거나 새롭게 세울 수도 있다.
이처럼 교육감의 권한은 막강하다. 교육감의 권한은 교육자치제의 확대와 교육권한의 지방 이양에 따라갈수록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감들이 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교육감 직선제 이후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낙마하거나 구속된 교육감들이 한둘이 아니다. 선거 과정에서 돈을 대가로 후보를 매수하거나 교원 인사 비리 등 매관매직에 교육감이 연루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교육감 중 일부는 중앙정부의 교육정책을 고려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만 내세우며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키기도 했다. 또 생산적인 논의와 소통의 리더십을 발휘하지 못해 학생과 학부모, 학교현장에 피해를 안겨주기도 했다.
지금 많은 후보가 교육감을 하겠다며 출사표를 던졌다. 일부 지역은 후보가 난립해 유권자들이 혼란스러울 정도다. 이렇게 많은 후보가 나선 것은 교육감이 중요하다는 의미도 있지만, 유권자 입장에서는 더욱 현명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뜻한다.
교육감이 갖춰야 할 자질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도덕성이다. 지역교육의 책임자로서 학생, 교직원, 지역 주민들에게 도덕적으로 모범을 보이지 못하면 교육 수장으로서 자질을 갖췄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후보가 도덕적 흠결이 있는지 꼼꼼히 따져야 한다.
또 교육감은 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역량을 갖춰야 한다. 단순히 학교 현장의 교원 출신이라고 교육 전문가로 단정할 수는 없다. 교육감은 교육현장을 이해하고 교육에 대한 비전과 안목이 있어야 한다. 교육현장을 지원하며 교육비전을 실현하는 역량을 갖춰야 한다.
특히 교육감은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지역교육 발전을 위해 중앙정부의 협조를 끌어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고 지방 의회는 물론 지역사회의 교육에 대한 지지와 협조를 얻어낼 수 있어야 한다.
교육이 단순히 교육논리로만 움직이는 시대는 지났다. 교육문제는 사회 구조적인 문제와 연결돼 있고, 이해관계도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 따라서 교육감이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소통과 통합의 리더십이 필요하다.
복잡하게 얽힌 교육문제는 지역주민의 폭넓은 동의와 지지를 이끌어내야 해결된다. 교육감이 자신의 철학과 신념만 고집하면 갈등만 일으키고 교육은 한발 짝도 전진하기 어렵다. 개방적이고 열린 자세를 갖춘 교육감을 뽑아야 한다.
교육공약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무상교육’ 시리즈는 선거 때마다 등장한 단골 메뉴다. 교육복지는 우리가 지향할 과제다. 하지만 한정된 교육예산을 가지고 지나치게 교육복지에만 투자하면 교육의 균형이 깨진다. 선심성 공약이 없는지 잘 살펴야 한다.
세월호 참사 원인 중 하나는 부실한 학생 안전대책이다. 그런 만큼 이번 선거에서 ‘학생안전’ 공약이 쏟아질 것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공약을 남발하는 것은 세월호 희생자에게 또 다른 죄를 짓는 일이다. 유권자가 공약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교육감 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에 선출되는 교육감은 4년간 해당 시도의 교육을 책임지는 만큼 중요할 수밖에 없다. 특히 세월호 침몰 사고와 같은 참사로 다시는 어린 학생들이 희생당하는 일을 막기 위해서라도 교육감을 잘 뽑아야 한다.
교육감이 교육의 모든 것을 결정하고 책임지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방교육의 책임자로서 선장과 같은 역할을 한다.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교육이 순항할 수도, 침몰할 수도 있다. 교육감을 잘 뽑는 일은 유권자의 몫이라는 점을 잊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