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천적 비만 예방도 가능할 듯
국내 연구진이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 섬모에서 비만의 원인을 찾아냈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팀과 가천대 이길여암당뇨연구원 이봉희 교수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중추인 뇌 시상하부의 섬모가 짧으면 포만신호를 감지하지 못해 결국 살이 찌게 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비만을 불러오는 기전을 밝혀낸 연구로 비만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는 것은 물론 비만 등 대사증후군 치료제 및 식욕억제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 비만 쥐의 평균 섬모길이는 정상 쥐 5.5㎛(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에 비해 약 40% 짧은 3.3㎛였다. 특히 3㎛ 미만의 짧은 섬모비율이 정상 쥐는 전체 섬모 중 13%에 불과했지만 비만 쥐는 50%이상이었다.
동물의 몸은 배부르거나 배고프다는 포만, 기아 등의 신호를 뇌로 보내는데, 여러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인 신경세포 섬모가 짧으면 에너지 과잉 상태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대표적인 식욕 억제 호르몬인 렙틴이 섬모 길이를 조절하여, 뇌 시상하부 신경세포가 우리 몸의 신진대사 신호를 감지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증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