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10월26일, 하얼빈에는 총성과 함께 한 장부의 외침이 울려 퍼졌다. "코레아, 우라!(대한민국 만세) 코레아, 우라! 코레아, 우라!"
총성과 함께, 하얼빈에 왔던 이토 히로부미는 그대로 쓰러졌다. 장부는 곧바로 러시아 공안에 체포되어 일본 정부로 인도되었다. 그가 일본 법정에서 재판을 받고 사형선고를 받기까지 일본 정부는 기민하게 움직였다. 결국 1910년 3월26일, 그는 처형되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우리 민족의 횃불 같은 정신으로 남은 영웅 안중근이다.
'안중근 평전'을 펴낸 이창호 이창호스피치리더십연구소 대표는 "안중근은 이미 100년 전에 동북아를 넘어 아시아의 평화 체제를 구상한 사상가이자 그 구체적인 실천방략까지 고민한 위대한 실천가였다"고 전했다.
"안중근은 문명개화론자이자 행동가였다. 그는 문명개화를 통해 실력을 닦는 것이 대한 독립의 전제조건이라고 생각한 문명개화론자이자, 동시에 일본의 보호정치가 한국의 문명개화가 아닌 국권 침탈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달은 순간 바로 무장투쟁의 선두에 나선 행동가였다." 328쪽, 1만5000원, 벗나래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