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전국에서 이미 고령사회로 진입한 경북의 현실을 고려하고, 세대간 이해를 돕기 위해 소비경제적 관점으로 “할매할배 소비트렌드조사(손자녀돌봄관련)”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번에 실시한 “할매할배 소비트렌드조사”는 경북의 할매할배 중 내 자녀의 자녀까지 양육하겠다며 육아스쿨을 다니는 그룹(A그룹)과 그 동안의 수고로 충분하다며 손자녀 양육을 원하지 않는 그룹(B그룹)의 구분을 염두에 두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문항으로는 ① 손자녀 양육의사에 대해 응답자의 61.1%가 ‘손자녀를 돌 볼 의사가 없다’고 답했으며, ② 경제적 혜택 제공시 양육의사에 대해서도 응답자의 60.7%가 ‘손자녀 돌 볼 의사 없다’고 답했다. 이는 손자녀 양육의사는 경제적 혜택과 무관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실제 양육부탁을 거절한 경험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13.6%만이 ‘거절한 경험이 있음’으로 답했고, 손자녀를 돌보는 이유에 대하여서는 ‘자녀의 부탁이라 할 수 없이 돌보고 있다’는 응답이 45%를 차지하고 있어, 비자발적인 의사로 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가 상당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손자녀를 돌보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자녀 우윳값, 간식비, 학용품비 등 손자녀 양육에 드는 경비를 제외한 순수 수고비’에 대한 질문에는 평균 28.3만원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령친화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한 질문으로 노년층에 가장 필요한 제품에 ‘건강관련 보조용품(46.5%)’, 가장 필요한 서비스에 ‘문화여가활동지원서비스(40%)’로 조사되었다.
이강창 민생경제교통과장은 “손자녀돌봄과 관련하여 아직까지 거절에 서툰 부모세대를 이해하고, 말하기 꺼려하는 양육비나 수고비 부분을 공개함으로써 세대간 소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노년층이 가장 필요로 하는 건강관련 보조용품과 문화여가활동지원서비스 관련 고령친화산업을 적극 육성하여 일자리 창출로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