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여론·국정 정상화 감안한 듯
▲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 운영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자진사퇴하면서 박근혜정부 2기 내각 출범에 가장 논란이 됐던 2명의 후보자가 결국 예상대로 낙마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김명수 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사실상 처음으로 임명을 철회한바 있다.
이는 박 대통령이 두 후보자에 대한 비난여론이 예상외로 거세다는 점을 무시할 수 없는데다 2기 내각 출범과정에서 빚어지고 있는 국정 혼란을 계속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또 모처럼 개선된 야권과의 관계도 이번 인사 논란으로 물거품을 만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고려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명수는‘임명 철회’, 정성근은‘자진사퇴’…이유는
앞서 전날 박 대통령이 김 후보자의 임명을 전격 철회하고 황우여 후보자를 새로 내정하면서 청와대 안팎의 시선은 온통 정 후보자의 거취에 쏠렸다.
정 후보자의 경우 인사청문회 위증 논란으로 야권의 반발이 격렬했던 데다 청문회 정회 도중 폭탄주 회식 논란까지 제기되면서 박 대통령의 심기를 상당히 거스르게 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그러면서도 일각에서는 정 후보자가 자신을 둘러싼 의혹과 관련, 청와대에 적극 해명하고 나서자 박 대통령 역시 당초의 '임명불가' 방침에서 다소 돌아섰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더욱이 지난 15일 김 후보자만 임명이 철회되자 정 후보자는 안고 가는 것으로 비치기도 했지만 결국 정 후보자의 자진사퇴 형식으로 끝내 결론이 났다.
이처럼 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을 철회하지 않고 자진사퇴까지 기다렸던 것은 2명까지 낙마시키기에는 2기 내각의 동력 확보에 부담이 된다는 점 등을 감안해 좀더 고민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으로서도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결정을 기다린 것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정 후보자의 임명을 철회하지 않고 자진사퇴 형식으로 물러나게 한 것은 김 후보자와 달리 정 후보자가 대선캠프 때부터 활동한 인물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자신이 후보 시절부터 당에서 활동하던 사람의 임명을 철회한다는 것은 인사관리의 실패임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외부에서 발탁한 김 후보자의 경우 인선과정에서 자칫 문제점들을 제대로 발견하지 못하고 천거한 것으로 치부될 수 있지만 정 후보자의 임명을 철회한다는 것은 이미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사람으로 데리고 있었다는 것을 자인하는 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론 부담 감안…야권과 관계 ‘도루묵’우려도 반영된 듯
박 대통령은 이들 두 후보자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잦아들기는 커녕 갈수록 확대되면서 많은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고 보여진다. 게다가 2기 내각을 이번주에 출범시킬 것이라고 예고한바 있어 상황을 서둘러 수습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더욱이 모처럼 조성된 야권과의 우호적인 관계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10일 모처럼 여야 원내지도부와 회동을 갖고 특히 여성 첫 원내대표인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와 만나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보여주면서 소통정치의 계기를 만드는 듯 했다.
특히 최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는 박 원내대표의 당부대로‘국가개조’가 아‘국가혁신’으로 용어를 고쳐 사용함으로써 야권의 요구에 호응하는 모습을 내비치기도 했다.
그러나 바로 그 만남에서 박 원내대표가 제기한 장관 후보자 임명 철회 요구를 무시하고 갈 경우 이 같은 노력이 곧바로 무용지물이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실제 야권에서는 김 후보자만 임명을 철회한 데 대해 곧바로“민심을 거스르는 납득할 수 없는 조치”라며 비판의 날을 세웠다.
더욱이 여권 내에서도 친박(친박근혜계) 세력이 약화되는 분위기 속에 2기 내각 출범과 함께 통일준비위원회 발족 등을 통해 향후 국정 주도권 회복을 노리고 있는 박 대통령으로서도 원활한 국정동력 회복을 위해 이 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