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29일 서청원 의원 등 새누리당 친박계 수뇌부 일부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 '질서 있는 퇴진'을 요구한 것과 관련, 진정성을 의심하며 일제히 비난공세를 폈다.
우상호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6인 중진협의체가 합의한 비대위원장 선임기준을 거부했다. 박 대통령은 변호인 문자메시지를 통해 검찰 대면조사를 거부했다. 친박 중진들은 대통령 퇴진을 건의했다. 이 3가지 사안은 어제 대통령과 친박 지도부에게 있었던 일"이라며 "종잡을 수가 없다. 뭘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고 친박계를 비판했다.
그는 "퇴진 건의에 진정성이 있으려면 서청원 의원 정도 중진이 청와대에 들어가 박 대통령과 면담으로 설득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이런 중대한 사안을 자기들끼리 이야기하고 정무수석을 통해 전달하겠다는데 (박 대통령이) 정무수석 말을 듣는 분이냐. 뭣들 하는지 잘 모르겠다"고 박 대통령에게 퇴진을 건의한 새누리당 의원들을 비난했다.
같은 당 윤호중 정책위의장도 이날 회의에서 "일부에선 명예퇴진 운운하는 이야기가 나오자 새누리당 비박이 흔들린단 보도도 있다"며 "만약 새누리당이 이런 자잘한 문제로 흔들리게 된다면 새누리당 통째로 200만 촛불민심 쓰나미에 흔적도 없이 사라질 것"이라고 새누리당을 비난했다.
박완주 원내수석부대표도 이날 회의에서 "국민은 이미 박 대통령을 탄핵했다. 질서 있는 퇴진을 대통령에게 요청하겠다는 일부 친박 의원 외침은 공허하게만 들린다"며 "국민의 명령은 이제 질서 있는 퇴진이 아닌 질서 있는 탄핵이다. 이제 탄핵 화살은 활시위를 떠났다"고 밝혔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새누리당에서 일부 거론되고 있는 대통령의 용퇴 건의, 그리고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개헌논의 제안으로 탄핵 열차를 멈출 수 없다"고 새누리당을 비난했다.
박 위원장은 "탄핵은 탄핵이고 퇴진은 퇴진이고 개헌은 개헌"이라며 "국회에서 탄핵안이 통과해도 박 대통령은 언제든 퇴진할 수 있고 탄핵안 통과 이후 개헌도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다. 지금은 탄핵안 통과에 집중하자고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이날 비대위에서 "부끄러움을 모르는 대통령에게 민심수용선언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친박의 퇴진 건의를 고심하는 모양새를 연출해 국회 탄핵안 가결을 방해하려는 꼼수가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친박계를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