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차형준 교수팀, 홍합단백질로 생체접착제 개발..
사회

차형준 교수팀, 홍합단백질로 생체접착제 개발

운영자 기자 입력 2014/05/15 20:02 수정 2014.05.15 20:02
▲ 차형준 교수     © 운영자
포스텍(포항공과대)은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이 홍합의 접착 메커니즘을 이용해 생체접착에 활용가능한 홍합단백질 기반의 생체접착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또 접착단백질과 철(Fe) 이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반복적으로 접착과 탈착을 해도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자가복원(self-healing)’ 기능을 규명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의료 생체접착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피브린 계열의 생체접착제로 인체에는 비교적 친화적이지만 낮은 접착력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생체접착제가 개발되고 있지만 합성고분자를 이용하는 접착제들이 주가 되고 있어 인체에서 활용할 경우 독성 등의 부작용들이 단점으로 부각돼 왔다.
홍합접착단백질은 접착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인체에도 무해하다는 점에서 대안 중 하나로 제안됐지만 홍합에서 추출할 수 있는 단백질의 양이 적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이에 차 교수팀은 유전공학을 이용해 홍합접착단백질 대량생산기술을 토대로 인체에는 무해하면서도 기존의 접착소재보다 3배 이상의 높은 수중 접착력을 가진 생체접착제를 이번에 개발했다.
이 접착제는 홍합접착단백질과 철 이온 간 가교 반응을 이용해 자가복원력을 갖추도록 해 다양한 메디컬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해양생명공학기술사업의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기술개발’과 포스텍의 ‘차세대 과학자(Rising Star)’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결과는 바이오소재 분야의 권위지 ‘바이오매크로몰레큘스(Biomacromolecules)’ 5월호에 게재됐다.
차형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홍합접착단백질을 직접 이용해 생체접착제를 처음으로 구현할 수 있었다는 면에서 기존 접착제를 대체할 차세대 생체접착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높다”며 “생체접착소재뿐만 아니라 배터리와 같은 전자재료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영철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