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위탁처리업체 통보에 31일까지 연장 요구
현실성 없는 대책 발표… 시민들 기만‘비난 봇물’ 포항시가 뒤늦은 음식물 쓰레기 폐수(이하 음폐수) 처리에 부산을 떨고 있다.
포항시는 음폐수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지난해 포항시 남구 호동에 100억원을 들인 음폐수 병합처리시설을 준공했지만 공법 등의 문제로 정상가동을 못하고 일평균 140여톤의 음폐수 가운데 50여톤을 울산 소재의 해양투기업체에 위탁 처리해 왔다.
그러나 최근 울산의 해양투기업체가 해양수산부의 해양투기 쿼터량 제한으로 더 이상 포항시를 비롯한 타 지자체의 음폐수 처리가 불가능하다며 17일까지만 처리하겠다고 통보해 와 포항시의 음식물 쓰레기 대란이 우려됐다.
포항시는 코앞에 닥쳐온 음폐수 대란을 피하기 위해 뒤늦게 해양수산부 및 환경부를 방문해 울산업체에서 당초 계획인 이달 31일까지 음폐수 처리기한 연장을 요구했고 지난 12일에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대행업체 긴급간담회를 가지고 다량배출사업장의 음식물 쓰레기는 민간 처리업체에서 처리하기로 하는 등 대책마련에 부산을 떨었다. 또 18일 읍면동장 긴급회의를 통해 아파트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평가를 실시해 우수 단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홍보 전단지 40만장을 제작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홍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다량배출 사업장에 담당공무원이 방문해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및 배출 요령 설명과 3GO운동(수분 빼GO, 과일 껍질 말리GO, 남은 음식 줄이GO)의 적극 동참을 유도하는 대 시민 캠페인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운동 분위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포항시의 뒤늦은 호들갑에 시민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음폐수 처리문제는 지난해부터 포항시의회를 비롯한 사회단체와 시민들의 지적이 넘치던 문제로 100억원의 혈세를 투입하고도 1년이 넘게 정상가동치 못하는 음폐수병합처리 시설을 개선하지 못하고 책임소재를 둔 법정공방만 벌인 포항시의 책임이 크다는 것이다.
또 포항시가 음폐수 처리대책으로 밝힌 자체 임시저장조 650톤과 음식물폐기물처리 대행업체의 300톤 임시저장시설로 20일 가량의 음폐수를 저장할 수 있다는 내용은 대책이라기보다는 시민들을 기만하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시민 장 모(53, 송도동)씨는“음폐수의 고형물과 유분을 회수 처리하는 전처리 시설은 음폐수병합처리시설의 부하를 낮춰 정상가동을 위해 당연히 필요한 시설이었는데도 이를 도외시하다가 이제야 이를 설치한다고 홍보하는 것은 시민들을 우롱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지난 13일 환경부로부터 폐수처리장의 질소처리 유기탄소원으로 음폐수 사용이 가능하다는 통보를 받았다”며“이에 대한 사용이 가능하다면 장기적으로 포항시 음폐수 문제는 해결 될 것이라는 발표와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의 타당성 조사용역 추진이 어떻게 대책이 될 수 있냐”며 언제 해결될 지도 모를 대책을 발표한 현실성이 결여된 포항시의 행정에 질타를 가했다.
덧붙여“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시민운동이나 생각해 결국 시민들에게 책임을 돌리려는 포항시는 혈세를 낭비한 음폐수병합처리 시설의 정상화 대책을 조속히 수립하라”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