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이 여성보다 1.7배↑…과음·흡연 등 삼가야
과도한 음주 등으로 피가 통하지 않아 뼈 조직이 죽는 골괴사증으로 병원을 찾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골괴사증 진료인원은 2007년 2만2354명에서 2013년 2만5993명으로 연평균 2.5%씩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2013년 기준 남성이 1만6293명, 여성이 9700명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1.7배 이상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가 7118명(27.4%)으로 가장 많았고, 60대(5327명, 20.5%), 70대 이상(5238명, 20.2%), 40대(4,327명, 16.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증가율도 40대 이상부터 진료인원이 매년 증가했다.
특히 50대와 70대 이상에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증가폭이 컸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오현철 교수는 "골괴사증은 과도한 음주, 흡연, 고지혈증 등이 원인이 돼 발생할 수 있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로 고관절 골절이 증가하고 있어 골절 후 발생한 골괴사증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골괴사증의 원인은 많은 경우 개인적으로 조절하거나 예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나라는 과도한 음주와 관련된 경우가 많아서 적절한 음주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